2015년 전북에서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MERS) 공포가 휩쓸면서 마을 전체가 통째로 격리되는가 하면, 사상 처음 치러진 제1회 전국 동시 조합장 선거에서는 불법선거가 만연되면서 부정선거의 온상이라는 오명을 안았다. 도내 자치단체들은 각종 비리로 사정기관의 수사대상에 오르는 행태가 여전했고, 교육부 대변인까지 연루된 군산 서해대 사건은 상아탑 비리의 전형을 그대로 보여주는 등 말 그대로 ‘다사다난’한 한 해 였다. 2015년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주요 사건·사고들을 정리해본다.
△메르스 환자 760여명 육박
지난 6월6일 도내에서 처음으로 순창군 순창읍 장덕마을에 사는 A씨(72·여)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메르스 확진 환자 A씨가 살던 순창 장덕마을 주민 105명 모두 2주간 자가 격리되는 등 고통을 겪었다.
이어 전주와 김제에서 잇따라 메르스 확진 환자가 나오면서 도내 전체 962개 학교와 유치원 가운데 98곳(10.2%)이 휴업하기도 했다.
도내에서는 메르스 확진 환자 3명, 병원격리자 11명, 자가격리자 655명, 능동감시자 99명 등 모두 765명이 메르스로 관리를 받았다. 전북도는 메르스로 병원 또는 자택에 격리된 540가구 1428명에게 긴급생계비 명목으로 4억3700만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동시 조합장 선거 비리
올해 3월11일 처음 치러진 ‘제1회 전국 동시 조합장선거’에서 불법을 저지른 조합장이나 후보자는 22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에서 경남·충남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숫자다.
유형별로 보면 금품향응 제공이 106명(46.9%)으로 가장 많았고 사전선거운동 52명(23%), 후보비방 및 허위사실공표 34명(15%) 등이 뒤를 이었다.
전북지방경찰청은 전국 동시 조합장 선거에서 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적발한 226명(176건) 가운데 도내 한 축협조합장 김모씨(70) 등 4명을 구속하고 4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후 검찰은 구속 4명을 포함해 총 79명을 기소했다.
△지방자치단체 잇단 비리
순창군에서는 지난 8월 군수 부인 권모씨(55)와 비서실장 공모씨(47)가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됐다.
또 군 금고 협력 사업비를 예산에 편성하지 않고 사용한 혐의로 장수군의 전 비서실장이 사기 혐의로 기소돼 집행유예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경찰은 부안군 줄포 해안탐방도로 개설공사 일괄하도급 강요 의혹과 관련해 비서실까지 압수수색을 실시하는 등 수사의 칼끝을 군 지휘부로 향하고 있다. 부안군은 김호수 전 군수의 인사비리에 이어 바뀐 군수 체제에서도 공사비리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술렁이고 있다.
△서해대학교 교비 횡령
대학 인수·운영 과정에서 불거진 군산 서해대학교 교비 횡령 사건은 교육부 고위관리와 재단 이사장 외에도 전·현직 총장과 대학 보직교수 등이 연루돼 ‘지방 사학 비리의 종합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검찰은 지난 10월14일 서해대 인수와 관련해 이사장 측으로부터 뇌물과 향응을 받은 교육부 전 대변인 김재금씨(48)와 학교자금 146억원을 횡령한 서해대 이중학 이사장(41), 브로커 이모씨(48) 등 3명을 구속기소하는 등 모두 10명을 법정에 세웠다.
교육부 전 대변인 김씨는 교육부 주무과장으로 일하던 2012년 7월부터 3개월간 이 이사장의 측근이자 재무컨설팅 담당으로부터 4800만원 상당의 현금과 골프·술 접대를 받은 혐의를 받았다.
이 이사장은 학교 자금 146억원을 횡령하고 전 총장과 공모해 ‘유령학생’을 모집해 국가장학금 6800만원을 챙기기도 했다.
백세종, 김정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