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이 야심차게 추진해 온 혁신학교의 성과가 초등학교에서는 높은 반면, 중·고등학교에서는 기대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교육정책연구소가 5일 공개한 ‘2015 혁신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초등 혁신학교 학생들은 △미래 핵심역량 △수업공동체 △학교생활 만족도 등 3개 분야에서 각각 평균 4.23점, 4.10점, 4.20점(5점 만점)을 매겼다. 이는 초등 일반학교가 기록한 4.04점, 3.87점, 4.12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치다.
반면 중등 혁신학교는 초등 혁신학교에 비해서도 점수가 낮았을 뿐 아니라, 수업공동체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두 분야에서 오히려 일반학교에 비해서도 성과가 낮았다. 중등 혁신학교는 ‘미래핵심역량’에서 3.67점, ‘학교생활 만족도’에서 3.68점을 기록했지만, 같은 분야에서 일반학교는 각각 3.75점, 3.77점이었다.
지난 2013년 같은 조사에서는 중등 혁신학교가 중등 일반학교에 비해 전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지난 2014년 조사에서는 중등 혁신학교가 ‘수업공동체’ 및 ‘학교생활만족도’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2015년에는 오히려 일반학교에 비해서도 성과가 낮아진 것이다.
이처럼 중등 혁신학교에서 학생들이 체감하는 성과가 낮은 이유로는 각종 지원의 문제와 함께 대학 입시가 결부돼 있다는 요인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도교육청 교육혁신과 관계자는 “올해는 중등 혁신학교에 교원 연수 및 인적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좀 더 집중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전국혁신교육네트워크에서도 이 같은 문제를 안건으로 올려놓고 논의하는 중이다”면서 “대학 입시와 연결된 부분이기 때문에 전국적 차원에서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농어촌 혁신학교가 농어촌 일반학교 및 도시지역 혁신·일반학교에 비해 성과가 높았으며, 학급 당 학생 수도 15명 이하인 곳이 16명 이상인 곳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학급 당 학생 수 감축 정책이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