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물동량 동선 파악 여론

물류흐름 자료 없어 / 군산항 경쟁력 저하

군산항의 활성화를 위해 전북도산하 출연기관인 전북연구원을 통해 도내 산업체들의 수출입 물동량 이동경로를 파악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국내 항만들의 물동량 확보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도내에서는 수출입 업체들의 물류동선과 관련된 자료조차 전무, 군산항의 경쟁력이 실추되고 있기 때문이다.

 

군산해수청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이후 5년 동안 전국적으로 항만 물동량은 증가추세를 보인 반면 군산항의 물동량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전국 항만의 물동량은 지난 2010년 12억400만톤에서 지난해 14억1600만톤으로 지난 5년동안 17.6% 증가했지만 군산항은 1926만2000톤에서 1863만5000톤으로 3.3% 감소했다.

 

그러나 도내 수출입업체들이 광양항·인천항·평택항 등 다른 항만을 이용하고 있음에도 관내 수출입 업체들의 이용 항만에 대한 명확한 자료조차 없는 실정이다.

 

군산해수청이 최근 도내 50인이상 수출입 업체들을 대상으로 물동량의 이동경로 파악에 나서고 있지만 호응도가 낮아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군산항의 경쟁력 제고로 지역경제활성화를 도모하려면 도내 수출입 업체들의 물동량 동선파악으로 군산항의 문제점에 대한 전북도 차원의 대안마련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군산항만관계자들은“다른 지자체들은 관할 구역내 항만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반면 전북도는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고 이는 군산항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