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16일 해제됨에 따라 우리 정부도 즉각 대 이란 무역 및 투자를 자유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굴지의 기업은 물론, 충북 등 일부 자치단체는 이란 시장 선점을 위해 뛰어들고 있어 중동 식품산업 시장 확대를 추진 중인 전북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는 2월 말에서 3월 초 이란 테헤란에서 한·이란 경제공동위를 개최하는 등 양국 정부간 협력 채널을 구축하고 경제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경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핵 등 대량살상무기 등과 관련한 전략물자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품목에 대한 대이란 수출입 제한을 해제한다”며 “앞으로 우리 기업은 이란과 자유롭게 교역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이란산 원유수입량에 대한 제한도 풀리며 금융 및 서비스 거래도 자유로워진다.
그동안 이란과의 교역 금지 품목으로 묶인 석유화학제품, 자동차, 조선, 해운, 항만, 귀금속 등이 집중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전망에 따라 각 자치단체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충북 경제자유구역청은 17일 이란의 투바전통의학기업이은 청주 오송에 ‘이란 전통의학 공동연구소’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4월 청주에서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 사업 추진만 남겨 놓고 있다. 양해각서의 골자는 이란이 향후 10년간 20억 달러(2조4300억 원)를 투자해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에 적합한 신약 제품화 공장 건립 등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또 부산광역시를 비롯한 다른 지역도 이란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 중이어서, 농식품산업을 통해 중동시장 진출을 노리는 전북도의 보다 체계적이고 발빠른 대응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