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곳의 혁신도시 중 충북과 전북만 행정구역이 2개 자치단체로 나뉘면서 행정력과 치안력이 분산돼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 전북혁신도시의 행정구역은 완주군 이서면과 전주시 덕진구 장동·만성동(행정동: 동산동), 완산구 중동(행정동: 효자4동) 등으로 나뉘어졌다.
이에 따라 우선 혁신도시에 편입된 전주지역 동(洞)을 하나로 통합해 가칭 ‘혁신동’을 만들고, 장기적으로는 혁신동과 완주군 이서면을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 전문가들은 전주와 완주로 나뉜 혁신도시의 행정구역을 통합해 주민들의 일체감과 편의를 증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신환철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전북혁신도시 행정구역이 두개 자치단체로 나뉜 것은 여러모로 비효율적이다. 애초 전주와 완주의 통합을 전제로 혁신도시를 유치한 만큼 대승적인 차원에서 행정구역 통합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홍 전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도 “장기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생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행정구역 통합을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면서도 “두 자치단체와 지역 주민 간 합의가 필요한 사항이다”고 피력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지난해 전북지역 최초로 주민등록 인구 7만명을 돌파한 효자4동을 분동해 혁신동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효자4동은 서부신시가지와 전북혁신도시, 서곡·효천지구 등 도시개발사업 지역이 포함돼 최근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또 내년 입주가 예정된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있고 원룸도 속속 들어서고 있어 인구 증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2013년 전주·완주 통합 무산을 거울 삼아 다각적으로 두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동기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섣부른 통합론으로 혁신도시에 편입된 두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갈등이 불거질 소지가 있다”며 “주민 공청회를 통해 첨예한 주민 간 입장차를 좁히는 수순이 필요하다”고 신중론을 폈다. <끝> ·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