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통합미곡처리장 횡령 관련 농협 중앙회 내부감사 제식구 감싸기에 그쳐

직원 단독 범행 감사결과 달리 공장장 등 조직적 범행 드러나

속보=익산통합미곡처리장 직원이 수천만 원을 횡령했다는 농협중앙회의 감사가 꼬리 자르기식의 제식구 감싸기에 그쳤던 것으로 드러났다.(27일자 4면 보도)

 

특히 직원 1명의 단독 범행이었다던 감사결과와 달리 검찰 수사결과 공장장과 부공장장 등 간부직원과 협력업체까지 연루된 농민을 상대로 한 조직적 사기행각이 펼쳐졌던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수년에 걸친 직원들의 횡령으로 만성 적자를 면치 못하던 익산통합미곡처리장은 매각절차를 밟고 있어 농민들에게 씻을 수 없는 피해를 안겼다는 지적이다.

 

전주지검 군산지청은 익산통합미곡처리장 직원들이 조직적으로 공모해 수년에 걸쳐 2억4500만원 상당의 쌀과 쌀 부산물을 빼돌리고, 입고되지 않은 벼가 입고된 것처럼 허위서류를 꾸며 1억7200만원을 챙긴 이곳 임직원과 유통업자 등을 기소했다.

 

검찰은 농민을 상대로 한 조직적 사기행각의 심각성을 고려해 이중 부공장장 등 직원 3명을 구속 기소했다.

 

검찰 수사결과 익산통합미곡처리장 직원들은 벼의 재고 측정이 곤란하고 관리체계가 허술한 점을 이용해 조직적으로 공모, 장기간 쌀을 빼돌려 온 것으로 드러났다.

 

직원들이 쌀과 부산물을 빼돌리는 사이 익산통합미곡처리장은 만성적자가 지속돼 자본이 모두 잠식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북익산농협과 왕궁농협이 출자해 설립한 익산통합미곡처리장의 자본이 모두 사라지고 매년 만성 적자가 지속되면서 결국 농민들에게 돌아갈 배당은 한 푼도 되지 않았고 적자까지 농민들이 떠안는 악순환이 수년 동안 계속됐다.

 

이런 문제는 앞서 인근 농민들 사이에 파다하게 소문이 확산되면서 농협중앙회가 나서 감사를 진행했지만 직원 1명이 5000여만원을 입금하지 않은 것만 밝혀냈다. 지난해 8월 농협은 그 직원을 해고 처리하며 일단락 시키려고도 했다.

 

검찰 수사와 달리 농협중앙회의 감사가 부실했던 것으로 나타나면서 내부 감사를 통해 꼬리자르기식의 주먹구구식 감사로 농민 피해가 덮일 뻔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게다가 북익산농협은 만성적자라는 이유로 익산통합미곡처리장을 농협중앙회가 설립한 회사에 매각하겠다는 절차를 밟고 있어 일부 직원의 악행이 농민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안기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횡령에 가담한 직원들은 물론 부실관리에 대한 책임소재까지 꼼꼼히 따져 농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북익산농협 조합원들은 “수년전부터 문제를 제기했지만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았다. 그 피해를 조합원과 농민들이 떠안을 수는 없다”면서 “부실관리와 농협중앙회의 부실감사 등의 책임도 분명히 물어야 하고, 만성적자의 원인도 밝혀진 만큼 매각절차도 당장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익산농협 관계자는 “농협중앙회 감사를 시작으로 검찰 수사로 확대된 것으로 문제가 분명히 발견된 것은 맞다”면서도 “미곡처리장 매각은 조합원들이 새로운 시설에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중 하나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