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전국 최초로 실시한 동네복지가 새로운 복지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대한민국 복지정책을 주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맞춤형 읍·면·동 중심 복지전달체계 구축사업’과 전북연구원이 제시한 마을공동체복지모델에 전주시의 동네복지 시스템이 반영되는 등 전국적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전주시에 따르면 동네복지시스템은 복지플래너가 직접 읍·면·동에 찾아가 동네의 복지수요를 분석한 뒤, 마을에 있는 병원, 종교계, 사업가, 시민운동가, 동 복지위원회 등과 연계해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전주시, 주민밀착형 동네복지 시동 / 2015. 5. 29)
현재 전주시는 평화1동과 서신동, 삼천2동, 인후3동, 송천동, 동산동 등 6개 시범동에서 동네복지 서비를 실시하고 있다. (전주시 '동네복지' 시범 6개동 선정 / 2015. 7. 10)
보건복지부는 올해 실시하는 ‘맞춤형 읍·면·동 중심 복지전달체계 구축사업’은 전주의 동네복지처럼 마을에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를 강화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전북연구원도 최근 정책브리핑을 통해 전북형 마을공동체 복지모델로 ‘마을복지’를 제시했다. 생활권 중심으로 마을단위를 세분화해 복지수요에 즉각 대응하고, 이에 필요한 재원을 마을단위로 재분배하는 게 주요 골자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사람 중심의 전주형 복지시스템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