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올해 72억94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농업경영 개선과 농업인 복지 향상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또 사고나 질병, 자연재해로 부터 농업인을 보호하는 등 소득보전 지원방안을 추진한다.
이에 시는 농촌인구 고령화에 따른 인력 수급의 어려움과 생산비 증가로 인한 소득 정체, 잦은 기상이변으로 농작물 피해가 늘어나는 등 농업경영의 어려움과 농촌 복지수요 증가에 따른 실질적인 지원대책 10개 분야를 시행한다.
주요 지원사업은 올해 처음 지원되는 농번기 공동급식 2600만 원(11곳)과 여성농업인 생생바우처 3억1400만 원(2620명), 농업인 학자금 3억5100만 원(305명), 농업인 안전공제 1억1100만 원(6500농가), 여성농업인센터 2억6200만 원(2곳), 농작물재해보험 3억2600만 원(2500㏊), 출산농가 도우미와 영농도우미 5400만 원(98농가), 컨설팅지원 1억5000만 원(15농가), 후계농업경영인 육성 56억 원(28명) 등이다.
특히 시는 농가경영 혁신을 위한 컨설팅 지원을 위해 국비 지원사업 외에 자체사업비 1억 원을 투자해 농업 CEO 육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농업인 복지 지원사업과 관련 내용을 몰라 누락되는 사례가 없도록 세부사업별 지원계층별 사업 안내 및 홍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농업인의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신규 사업을 적극 발굴하는 한편, 기존 사업에 대한 홍보강화로 농업인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