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주한미군 사드(THAAD, 고(高)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후보지로 군산이 거론되는 것을 놓고 속앓이를 하고 있다.
군산이 최종 입지로 선정될 경우, 최근 개발속도를 내고 있는 새만금 사업이 직격탄을 맞게 되는 등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하지만 이를 저지할 확실한 대응책이 없어 고민만 깊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는 군산이 후보지로 거론되던 올 설 연휴부터 연달아 대책회의를 열면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달 10일 송하진 도지사 주재로 양 부지사와 긴급회의를 개최한데 이어 11일에는 문동신 군산시장과 함께 대책회의를 열었다.
그리고 12일에는 더불어 민주당 최규성·김춘진 전북도당위원장,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 국민의당 김관영 도당위원장 등을 만나 정치권의 협조를 요청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본격적으로 내부개발에 들어가는 새만금 사업 등에 막대한 차질이 예상돼 지역발전에 큰 저해요인이 될 것”이라는 상황인식에는 공감했다.
그러나 그에 대한 대처는 단순 우려 표명과 함께 ‘군산은 사드 배치의 적지(適地)가 아니다. 정부의 현명한 판단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라는 소극적 대응에 머물렀다. 또 앞으로 정부의 사드 배치관련 논의가 진행되는 과정과 도민들의 여론을 예의 주시하면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주한미군 사드배치에 대한 정보 부족과 대정부 소통 창구를 갖고 있지 못한 전북도의 한계”라면서 “앞으로 이 같은 뜻을 국방부와 청와대 등에 전달하기로 했지만, 수용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은 만큼 최종 입지 결정에 앞서 보다 분명하고 강경한 도의 자세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