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교통카드시스템 유지보수 업체로 부터 뒷돈을 받아온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전북버스운송사업조합(이하 버스조합)이 교통카드시스템 계약을 특정업체에 밀어주기 위해 담합 입찰을 시도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정의당 전북도당과 전주시민회는 25일 전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라북도는 버스조합의 교통카드시스템 운영업체 선정 일정을 백지화시키고 투명한 경쟁입찰을 유도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버스조합은 교통카드시스템 운영업체 중 유독 2곳만 자의적으로 선정해 접수마감 10일 전에 입찰제안을 통보했다”며 “공개경쟁입찰은 인터넷과 일간지 등에 공고를 내 일정을 공개해야 함에도 버스조합이 지명경쟁입찰을 진행한 것은 특정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 교통카드시스템을 운영중인 마이비와의 계약이 올해 말까지인데도 버스조합은 시스템이 노후됐다는 이유로 사전 입찰을 추진하고 있다”며 “시스템이 노후됐다면 현재 사업자에게 귀책사유가 있으므로 책임을 물어야 마땅한데 마이비를 지명입찰에 참여시켜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또 “다른 자치단체의 경우 교통카드시스템 운영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당일 새벽 비공개 상태에서 심사위원을 무작위로 선정해 심사를 진행하기도 한다”면서 “하지만 전북버스조합은 평가위원 선정방식과 기준에 대한 배점 등 선정기준 일체를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북버스조합은 보도자료를 통해 시민단체의 주장을 반박했다.
버스조합은 “입찰에 참여한 마이비와 한국스마트카드는 기반이 튼튼한 대형 사업자로, 조합은 이들의 경쟁을 유도해 최신 교통카드시스템을 도입해 운송수입의 투명성을 확보할 것이다”면서 “교통카드시스템 계약 특성상 5년 이상 장기간의 계약을 해야 하므로 지명도가 낮은 업자와의 계약은 사업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버스조합은 계약시기를 앞당긴 것에 대해 “현 시스템은 7년간 사용해 오류발생이 많아 교체를 미룰 수 없기 때문에 마이비와 계약 기간을 6개월 단축하는 데 합의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