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사회복지시설 거주 장애인들의 자립을 돕기 위한 탈 시설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 시설에 대한 지원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29일 전주시에 따르면 현재 장애인들의 탈 시설화를 돕기 위해 음식이나 조리, 교통수단 이용 등의 일상 생활부분을 가르치는 자립생활체험홈 2곳을 위탁 운영하고 있다.
이 시설들은 전주시가 장애인들이 공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을 임대한 뒤 사회복지시설에 제공한 것이다.
이 시설들이 운영하는 자립생활체험홈 2곳에서는 각각 4명씩 8명의 장애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2~3명의 사회복지사가 주·야간, 주말로 나뉘어 교대근무를 하며 장애인들의 자립을 돕고 있다.
시는 이들 시설에 각각 연간 3000만원 정도씩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사들은 이 예산으로 체험홈을 운영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회복지사 A씨는 “체험홈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관리운영비, 가재도구, 비품, 소모품 등도 시 차원에서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며 “연간 지원 예산 가운데는 복지사 인건비 등으로 나가는 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운영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전주시는 올해 체험홈 2곳을 운영할 사업자를 새로 공개 모집하지만 지난해 시가 공간을 마련해줬던 것과는 달리 사업자가 공간을 확보해 사업에 참여하도록 했다.
두 곳의 사회복지단체에 지원하는 예산은 총 8300만원으로 한 기관당 4000여만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그러나 사실상 장애인들이 살 공간 임대료를 사회복지단체가 자체적으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지난해와 지원 규모에 큰 차이가 없다는 지적이다.
김양옥 전북장애인복지문제연구소 소장은 “예산문제를 해결하기 힘든 건 알지만 자립생활체험홈에서 살아가는 데 장애인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양영숙 전주시 생활복지과장은 “체험홈 운영예산이 부족하다는 사실은 충분히 알고 있다”며 “자림원과 자림인애원에서 나온 많은 인원들을 도와야 하다보니 재원을 넉넉하게 투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시의회와 논의해 예산증액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