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잇따른 한파와 많은 비 등의 영향으로 배추와 무 등 주요 채솟값이 평년 대비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이날 서울 가락농수산물도매시장 기준(kg당), 무(816원)·배추(1093원)·청상추(4356원)·양파(1729원)·대파(2381원) 등 일부 채솟값이 평년 대비 약 50~130% 올랐다.
이 중 주요 채소류인 배추, 무, 양파 가격은 kg당 평년 대비 각각 54%, 80%, 127% 상승했다.
이처럼 채소류 가격이 높게 형성된 원인으로는 지난 1월 말 전국적인 한파와 폭설 등 기상이변에 따른 공급량 감소가 꼽힌다.
날씨가 추워지면 채솟값이 오르는 경우가 많다. 추위 속에 채소 생육이 부진한 데다 출하 작업도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강추위가 찾아오는 1~2월 명절 수요도 있어 매년 가격 오름세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함께 양파의 경우 지난해 4~5월 고온과 가뭄의 영향으로 작황이 악화되면서 생산량이 크게 급감했다.
실제 지난해 전국 양파 생산량은 109만4000톤으로, 전년 159만톤에 비해 49만6000톤(31.2%)이 줄었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와 양파 등 주요 채소류의 가격 및 수급 안정을 위해 배추를 다음달까지 시중에 집중 공급하고, 양파에 대해서는 국내산 수매비축 물량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농협 계약재배물량의 출하조절 및 공급량 확대 등을 통해 채소류의 가격 안정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