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내홍, 정체성 '흔들'

안철수·김한길 야권 통합론 놓고 갈등 계속 / 전북 경선 참여 일부 인사 자격논란 이어져

국민의당이 경선과 본선을 코앞에 두고 당 안팎의 분란에 휩싸이면서 당의 정체성과 색깔을 잃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앙에서는 더민주와 통합문제를 놓고 김한길 선대위원장이 안철수 공동대표와 온도차를 드러내며 갈등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서는 선거에 참여한 일부 인사들의 자격을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지역정가에서는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가 지속적으로 주장해온 △낡은 진보 청산과 △당내 부패 척결 △새로운 인재영입이라는 원칙이 도민들에게 호소력을 갖기 위해서는 경선참여 인사들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지금부터라도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당 김한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8일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더민주 김종인 비대위 대표의 야권통합 제안과 관련해 “패권주의 청산의 진정성을 담보하는 일이 선행돼야 야권의 개헌선 저지를 위한 뜨거운 토론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진정성’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긴 했지만, 연대가능성도 열어둔 발언이다.

 

그러나 안철수 공동대표는 이에 앞서 이날 자신의 지역구에서 출마선언을 하면서 “국민들이 저에게 정치를 바꾸라고 했지 배우라고 한 것은 아니다”며 연대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틀 전 기자회견에서 “야권통합으로 의석을 몇 개 더 늘릴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렇게 하면 정권교체의 희망은 없다”며 적대적 공존의 양당 체제를 깨기 위해 원칙없는 승리보다는 차라리 원칙있는 패배의 길을 선택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전북지역에서는 임정엽 전 완주군수의 입당 및 경선참여에 대해 일부 당직자들이 반발하며 사퇴를 표명한데 이어 도내 경선 신청자들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새롭게 터져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이 도당 창당과정에서는 발기인들에 대해 사전검증을 실시했지만, 그 뒤 예비후보 등록이나 경선참여 신청 등의 과정에서는 후보자에 대한 제대로 된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재 선관위에 등록한 도내 국민의당 소속 37명의 예비후보자 중에서 35.1%인 13명이 1인당 평균 0.5건꼴인 모두 18건의 전과기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내 전체 예비후보자의 전과보유 비율 42.7%나 1인당 평균 전과 0.7건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것이지만, 국민의당이 당내 부패척결과 도덕성 회복을 창당의 주요 기준 중 하나로 국민들에게 약속했다는 점에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다. 게다가 일부 후보들의 전과 종류도 민주화 운동 과정에 연루되거나 단순한 과실의 차원을 넘어서 상해, 사기, 건축법 위반, 부동산중개업법 위반, 알선수재 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민의당 일부 인사들은 “양당구조를 깨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고 개인적 유 불리로 정치 공학적 발언을 하는 김한길 선거대책본부장은 선대위원장직을 사퇴해야 하며, 도내 경선 후보자들에 대해서도 당이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