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수가 매년 줄어들면서 저출산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국적으로 줄고 있는 아기 울음소리는 전북에서도 매한가지다.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는 자체 분만가능시설이 없어 비자발적 원정출산을 가야하는 지역이 절반을 넘고 있고, 시골과 도시간 분만가능 산부인과 거리차가 5배에 달하는 등 불균형이 깊숙히 자리잡고 있다. 전북지역 분만시설의 실태와 개선방안 등을 2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최근 고령화와 저출산의 흐름이 가속화되면서 아기 울음소리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도내 시군 가운데 분만시설이 없는 곳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만가능시설 이용거리의 경우 비도시지역과 도시지역이 5배 가량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소영 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임신 출산을 위한 보건의료 인프라의 현황과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각 시·군·구 중심점에서 가장 가까운 외래진료 산부인과까지 거리는 평균 0.4㎞였다.
시 지역과 군 지역의 외래진료 산부인과까지의 거리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제왕절개 분만이 가능한 의료시설’로 기준을 바꾸면 차이가 무려 5배 가까이 커졌다.
전북지역의 경우 분만이 가능한 의료시설까지의 평균거리는 시 지역은 5㎞인 반면 군 지역은 24.5㎞로 나타났다. 농촌지역 임산부의 경우 도시지역 임산부에 비해 분만을 하려면 최대 5배나 멀리 가야하는 셈이다.
도내 군지역의 분만 가능 의료시설까지의 평균거리는 강원(37.7㎞)과 경남(26.2㎞), 경북(26.1㎞)의 군지역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먼 거리다.
지난해 전북도 보건의료과가 ‘1시간(60분) 이내에 분만 가능 의료기관에 접근이 불가능한’ 출산 취약지역(진안·무주·장수·순창·고창) 임산부의 출산을 돕기 위해 지원한 이송지원사업(교통비 지원) 수혜자는 모두 1692명에 달했다.
이들 가운데는 출산을 위해 전주로 이동한 임산부가 1120명(66%)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229명, 14%)와 대전(100명, 6%) 등 전북이외 지역으로 원정 출산을 간 임산부도 적지 않았다.
대부분의 출산 취약지역 산모들이 분만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 중에서도 비교적 대도시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전북 이외의 지역으로 유출되는 산모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도내에서 분만실을 운영하는 산부인과는 전주 13곳과 익산 6곳, 군산 5곳, 정읍 3곳, 남원·김제 각 2곳인 반면 완주와 진안·장수·무주·임실·순창·고창·부안은 외래만 운영하는 산부인과만 각 1곳이 전부다.
전북도는 출산 취약지역 임산부들을 위한 이송지원사업으로 임산부에게 이송지원비(교통비) 10만원을 지급하고 있지만 이 또한 실질적인 출산 취약지역 지원사업으로 보기는 미약하다는 지적이다.
이송지원비 지급을 넘어 분만실이 없는 도내 8개 군지역에 분만시설을 갖춘 산부인과가 운영될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군산대학교 신영화 교수(사회복지학)는 “도내 모든 산모들이 일정수준 이상의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지만 그렇다고 분만 취약지에 산부인과를 무분별하게 건립하거나 적은 임금이 동반되는 산부인과 의사를 강제로 끌어오면 질 낮은 의료행위로 돌아올 것”이라면서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대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