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요 육성 사업 중 하나인 ‘1인 창조기업’ 전북 대상 기업이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도부터 중소기업청에서 각종 지원을 하는 이 사업을 신청하는 도내 기업들이 턱없이 적기 때문이다.
이에 단순 신청 접수보다는 기업들이 생겨날 수 있는 여건 마련 등 관계기관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일 전북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이 가능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1인 창조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1인 창조기업의 지난해 전북지역 신청 기업수는 15곳에 그쳤다.
지난해 전국에서는 모두 1127곳이 신청했으며, 전북의 신청 비율은 1.3%에 머물렀다.
또 지난해 도내에서 신청한 기업 중 단 4곳(전국 153곳)만이 선정돼 2억4000만원의 국비를 지원 받는데 그쳤다.
‘1인 창조기업 과제’는 창업 후 7년 이하이고,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1인 또는 5인 미만의 공동사업자로서 상시근로자 없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식서비스업, 제조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이 지원할 수 있다. 연간 2차례 기업이 원하는 시기에 신청이 가능하다.
세부 지원으로는 1인 창조기업 단독으로 기술개발을 수행하는 경우 최대 5000만원, 1인 창조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 수행하는 과제는 최대 1억원을 지원하며, 총 사업비의 80%이내에서 정부에서 지원한다.
2012년부터 시행된 이 사업에 매년 도내에서는 10곳에서 15곳 정도가 신청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1인 창조기업의 기반여건이 취약한 실정이다.
특히 올해는 지원규모가 196억원으로 지난해 104억원에서 100% 가까이 늘어난 만큼, 전북지역 1인 창조기업 육성을 위한 관계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지난해 신청한 기업들 중 30%이상이 서울 경기 업체다”며 “사실상 전북에는 탁월한 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많지 않은 것으로 보여 기반조성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올해 예산이 많이 늘어 전북 1인 창조기업들의 많은 신청을 당부한다”며 “사업전체 예산이 지역별로 배분된 것이 아니고 경쟁공모이기 때문에 기술력만 있다면 얼마든지 예산을 많이 확보 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