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생산량 5년내 2배 늘린다

정부, 민간 주도 성장기반 종합발전대책 발표 / 인삼·홍삼 본고장 전북, 세부 방안 마련 필요

앞으로 5년 이내에 인삼 생산량을 현재의 두배 이상으로 늘리는 정책이 추진된다.

 

이에따라 인삼과 홍삼 본고장을 표방하는 전북의 경우 지역 차원에서 별도의 세부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인삼 종주국의 위상을 회복하고 민간 주도의 자율적 인삼산업 성장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종합발전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를위해 농식품부는 인삼 생산액을 2020년까지 1조5000억원으로 늘리고 수출을 3억 달러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현재 인삼 생산액은 8164억원, 수출액은 1억5500만 달러에 달하는데 이를 5년 내에 2배 가량 늘리겠다는 것이다. 인삼 생산액은 1995년 이후 줄곧 성장하다가 2012년 1조831억원으로 최고조에 달한이후 계속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인삼특작발전대책 태스크포스를 운영한 데 이어 올들어 3월까지 현장 간담회를 열어 산업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했다.

 

이를 토대로 민간중심의 산업경쟁력 강화, 인삼 연구개발(R&D)의 산업화 연계 강화, 고품질 청정 인삼 생산·유통 기반 조성, 수출·소비 및 6차산업화 확대, 제도개선 등 5개 분야에 기존 17개 과제를 보완하고, 20개 과제를 신규로 발굴했다. 민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농산물로는 처음 도입된 인삼 의무자조금을 올해 25억원으로 늘리고, 제조·가공·유통·수출 업체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고려 인삼의 날’을 제정하고, 고려인삼 홍보·판매관 건립을 추진하며, 오는 11월께 ‘전국인삼한마당대축제’를 열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연구개발의 산업화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인삼 R&D 산업기획단’을 중심으로 중장기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고 현장중심의 맞춤형 R&D를 추진하기로 했다.

 

인삼의 효능과 기능성 인증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를 강화하고, 국제약전 등록도 적극 확대할 계획이다.

 

우량종자 생산 및 보급체계 구축, ICT를 활용한 스마트팜 재배, 산양삼 생산단지 조성 등을 통해 고품질 청정 인삼생산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대책에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