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비는 ‘쌀비’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얼마나 포함됐는지를 말하는 ‘포화수증기량’에 따라 대기의 건조한 정도를 알 수 있다. 포화수증기량은 기체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온도가 높으면 커지고 낮아지면 작아진다. 이 말은 즉, 차가운 공기에는 수증기가 많이 들어갈 수가 없어 대체로 건조하다는 의미가 된다. 일주일 가까이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이어진 건조특보도 오랜만에 세차게 내려준 봄비 덕분에 해제되고, 대기가 촉촉해졌다. ‘봄비는 쌀비’라는 말이 있다. 건기인 봄철에 비가 넉넉히 오면 풍년이 든다는 뜻이다. 오늘 오전까지 남부지방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 오다가 오후에는 점차 맑아지겠다.

 

·맹소영 날씨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