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3당 체제 '기대반 우려반'

지역현안 해결, 정부 소통창구 넓어졌지만 총선 당선자와 자치단체장 소속 정당 달라 의사결정 어려움 예상…협조 체제가 관건

4·13총선 결과, 전북지역 정치지형이 3당 체제로 바뀌면서 변화된 정치지형이 지역현안 해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회의원 당선자와 전북도 및 14개 시·군 단체장의 소속 정당이 달라 갈등이 양산될 수 있을 것이란 우려와 3당 체제가 구축되면서 대정부 소통창구가 넓어져 현안해결 및 국가예산 확보 등에 한층 힘이 실릴 것이라는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현재 전북도와 14개 시·군 단체장의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 8명, 국민의당이 1명이고, 6명은 무소속이다.

 

송하진 도지사를 비롯해 전주시 김승수 시장, 문동신 군산시장, 김생기 정읍시장, 이환주 남원시장, 최용득 장수군수, 황정수 무주군수, 박우정 고창군수, 황숙주 순창군수 등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나머지 김제시와 완주군 등 6개 시군은 무소속이며,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정헌율 익산시장은 국민의당이다.

 

대부분의 자치단체장이 이번 총선에서 당선된 해당 지역 국회의원과 소속 정당이 다른 상황이다. 특히 전주시의 경우 3명의 당선자(국민의 당 2명, 새누리당 1명) 모두가 전주시장과 소속 정당이 달라 다소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이로 인해 정치지형 변화에 대한 전주시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전주시 공무원 A씨는 “3당 체제 속에서 의원들은 자신들의 입지를 굳히기 위해 국비 확보 등 현안해결에 더 열심히 매진할 것으로 본다”면서 “특히 새누리당 국회의원의 당선으로 여당과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공무원 B씨는 “의제를 처리하는 부분에서 일당일때와 다수당일 때는 엄연히 상황이 다르다. 그동안 다당체제의 경험이 없어 앞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따라서 앞으로 도 및 시군 단체장과 국회의원 당선자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 관계자는 “조만간 당선인들과 정책협의회를 갖고, 지역현안 해결에 대한 협조를 당부하는 등 협조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라면서 “소속 정당은 다르지만, 지역발전에는 여야가 따로없다는 생각으로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송하진 도지사는 14일 도청을 예방한 당선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북정치에서 3당의 의미는 매우 큰 만큼 앞으로 긍정적 효과를 내야 한다”면서 “선의의 경쟁과 화합을 통해 전북발전을 이끌어내야 한다”며 전북 현안에 초당적 역량을 발휘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에 국민의당 정동영 당선자 등은 “이번 총선 당선자들은 모두 ‘전북애향당’이다. 국가예산확보, 현안해결에 발 벗고 나서 가장 효율적으로 팀플레이를 할 것”이라고 화답했고, 새누리당 정운천 당선자는 “3당이 화합하고 도정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또 더불어민주당 이춘석·안호영 당선자도 “우선 긴급현안문제로 있는 탄소법 국회 통과를 위해 적극 나설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지금과 같이 전북발전 선봉대 역할을 맡겠다”고 강조했다.

김준호, 김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