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째 전북출신 국회의장 나올까

'더민주 의장·국민의당 부의장' 공감대 / 진안 정세균·익산 이석현 의원 기대감

20대 총선으로 16년 만에 여소야대 정국이 만들어지면서 야당 출신 국회의장 배출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역대 2번째로 전북출신이 국회의장 자리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그동안 국회의장은 여야가 협의해 집권당의 다선 의원이 맡아왔다. 그러나 야권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내부에서 국회의장은 20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된 더민주가 맡고, 대신 야당 몫 국회부의장을 제3당인 국민의당에서 맡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공감대가 퍼지고 있다.

 

이에 따라 더민주(123석)와 국민의당(38석) 두 야당의 의석을 합하면 과반수를 훌쩍 넘는다는 점에서 양당이 이 같은 방안에 대해 최종 합의에 이르게 되면 새누리당이 반대하더라도 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은 더민주 소속 의원이 선출될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국회의장과 부의장을 의원들의 무기명투표로 선출토록 하는 국회법도 이를 뒷받침 한다.

 

이런 가운데 더민주에서는 20대 총선을 통해 6선이 된 정세균·이석현·문희상·박병석 의원 등이 출마 가능 후보군으로 꼽힌다. 이중 정세균·이석현 의원은 고향이 각각 진안과 익산이다.

 

특히 정세균·이석현 의원의 경우 범 친노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문희상 의원과 달리 친노 색채가 그나마 옅어 다른 후보들에 비해 국민의당 표를 지원 받기가 수월할 것으로 보여 전북출신 국회의장 배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정세균·이석현 의원 모두 친노와 가깝기는 하지만 국민의당 입장에서 보면 그나마 부담이 덜한 후보로 볼 수 있다”며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야권의 국회의장 배출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전북출신 국회의장 배출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재헌 국회 이후 호남출신으로는 모두 2명이 국회의장을 맡았었다. 전북의 김원기·전남의 임채정 전 국회의장이다. 이번에 전북에서 국회의장을 배출하면 호남으로는 역대 3번째, 전북으로는 역대 2번째로 국회의장을 배출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