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일보 제7기 독자권익위원회 제60차 정기회의가 25일 오전 11시 전북일보사 3층 편집국장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하현수 위원장(전북상인연합회장)을 비롯해 서양열(전주 금암노인복지관장)·양진성(전북민예총 회장)·이종기 위원(변호사) 등 제7기 독자권익위원들이 참석했다.
정대섭 편집국장은 이날 “독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신문으로 거듭나기 위해, 독자권익위원들의 날카로운 지적과 조언을 신문제작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독자권익위원들이 이날 정기회의에서 내놓은 다양한 의견과 제안을 정리했다.
△하현수 위원장= 20대 국회의원을 뽑는 4·13 총선에서 전북은 새누리당 1석, 더민주 2석, 국민의당 7석을 배출했다. 이들 세 정당의 국회의원들이 선의의 경쟁을 통해 전북발전에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이번 총선에서 전북일보가 정책선거를 위해 노력한 부분이 엿보이지만, 선거 막판에 이르러서는 너무 인물위주의 보도를 한 것 아닌가라는 아쉬움이 있다. 앞으로는 당선자는 물론 중앙당이 전북에 제시한 공약에 대해 검증하는 기사가 꼭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이번 총선 후보자들의 공약을 살펴보니 이미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의 재탕이 많았다. 또한 제대로 된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하는 부풀리기 공약은 물론 실현 가능한 공약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심층취재를 통한 검증이 꼭 필요하다. 당선자 검증을 통해 힘 있는 언론의 역할을 전북일보에 기대한다.
△서양열 위원= 위원장님 말씀처럼 후보자들의 공약검증 등은 지역 언론의 역할에 대해 전북일보가 고민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번 선거에서 아쉬웠던 점은 현역 국회의원들에 대한 검증작업이었다. 이번 총선 이후에는 2년 단위에 걸쳐서라도 유권자들이 알 수 있도록 현역 의원의 예전 공약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검증하는 기사가 필요하다. 특히 정책선거가 어려운 이유에는 불안정한 선거제도가 있다. 전북일보가 도민들에게 이 부분에 대해 여론을 환기시켜줄 수 있는 부분이 절실하다. 매 선거 때마다 정책선거를 지향한다고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도 역시 정책이 실종됐다. 전북일보가 끊임없는 경계와 감시에 나서줬으면 한다.
△양진성 위원= 두 분 말씀에 대체적으로 공감한다. 지속적인 감시기능이 필요하다. 당선자들의 공약에 대해 언론에서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이 있어야 한다. 실현 가능한 공약은 심층취재를 통해 청사진을 제시하고 재탕, 부풀리기, 실현 불가능한 공약에 대해서는 채찍질이 필요한 부분이다. 전북일보의 시민기자단 운영은 대해 전북지역마다 넓게 소통할 수 있는 창구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전북일보와 시민기자단의 의견에 차이가 있더라도,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이해해주는 부분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종기 위원= 총선과 관련해 열심히 발로 뛴 기자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이번 총선 기사와 관련해서 아쉬운 점은 소수당에 대한 보도가 부족하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든다. 거대 3개 정당에만 관심이 쏠리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만, 전북지역에 출사표를 던진 소수 정당에 대한 관심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본다. 이번 총선에서는 전북 최초로 여당 의원을 배출하는 등 다양한 정당이 당선됐다. 이 부분에 있어 전북의 예산유치와 활발한 정책발전이 기대된다. 앞서 다른 위원님들이 말씀하셨다시피 공약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은 꼭 언론에서 검증을 해야 한다. 당선자들 간의 선의의 경쟁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 전북일보가 충실한 파수꾼 역할을 선도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