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에 진출하는 전북지역 당선자들의 희망 상임위원회가 상당수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나 합리적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 19대 국회 후반기 특정 상임위원회에 대한 전북 의원들의 쏠림 현상으로 지역 현안 해결에 어려움을 겪었던 부작용을 이번에는 반드시 끊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25일 전북일보가 4·13 20대 총선 전북지역 당선자들을 대상으로 희망 상임위원회를 전화 조사한 결과, 10명의 당선자 중 4명(정동영·조배숙·이용호·안호영)이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를 희망했다.
이어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교문위) 2명(정운천·김종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이춘석)·기획재정위원회(기재위·김광수)·정무위원회(정무위·김관영)·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농해수위·유성엽) 각각 1명씩이다.
국토위와 교문위 희망자가 이처럼 많은 것은 낙후된 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대형 SOC 사업의 추진이 필요하고, 전북이 전통문화의 고장인 만큼 해당 상임위에서 해결해야할 현안들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 같은 쏠림 현상은 지역현안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여러 상임위원회에 전북 의원들이 고르게 배치돼야 지역현안 해결과 국가예산 확보 등에서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북지역 당선자들의 희망 상임위는 국회의 전체 16개 상임위원회 중 6개 상임위에 국한된다. 낙후산업단지 개발과 기업지원, 신 성장 동력인 탄소산업 등을 이끌 산업자원위원회는 아예 희망자가 없다. 뿐만 아니라 복지 분야를 전담할 복지위원회도 전무한 상황이다.
물론 당선자들의 2순위 희망을 보면 산업자원위원회가 3명(정동영·이춘석·조배숙)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16개 상임위원회 전체를 커버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에 따라 전북지역 당선자들이 상임위 결정 과정에서 개개인의 희망 보다는 전북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의견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 지역 사회의 중론이다. 또 상임위 배정을 놓고 전북뿐만 아니라 타 지역 당선자들과도 경쟁해야 한다는 점에서 도내 당선인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전북발전을 위한 최적의 상임위 배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특정 정당이 모든 의석을 휩쓸었을 때도 상임위원회가 고르게 배정되지 않았는데 이번에는 전북정치권이 3개 정당으로 나눠져 더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역을 위해 일하라고 도민들이 뽑아준 만큼 전북 당선자들이 개인보다는 지역을 먼저 생각해 상임위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19대 국회 후반기 전북지역 11명 의원들은 사전에 상임위 배정문제에 대한 조율을 거쳤음에도 농해수위 3명, 국토위 2명 등 특정 상임위 쏠림현상이 나타나면서 지역 현안 해결에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