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와 호남 중진 의원들의 협력체제이자 견제장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안 대표로서는 당의 기반인 호남의 지지를 확고히 하면서 향후 대권가도를 다지게 됐고, 박 의원은 당내 영향력을 강화하면서 차기 당권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게 됐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하지만 새누리당과의 대연정 여부나 차기 대권 등 민감한 문제를 두고 양측의 이해관계가 충돌할 수 있어 협력관계가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미지수라는 전망도 나온다.
박 의원은 자신의 러닝메이트격인 정책위의장에 안 대표의 대선캠프 공동 선거대책본부장 출신인 김성식 최고위원을 내정하기도 했다.
안 대표측도 박 의원에게 원내대표를 맡아달라고 부탁하고 당내 여론을 조성하는 등 이번 합의 추대 과정에 적잖은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국민의당은 ‘안철수-천정배-김한길 3두체제’였으나 총선 과정에 더불어민주당과의 선거 연대를 놓고 안 대표와 김한길 전 상임 공동 선대위원장이 대립한 끝에 김 전 위원장의 선대위원장직 사퇴·총선 불출마라는 ‘파경’으로 귀착됐다.
이런 가운데 안 대표는 20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박 의원과 새로운 밀월관계를 구축한 셈이다.
국민의당이 총선 승리의 여세를 몰아 20대 국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당은 물론 자신들의 정치적 미래도 보장된다는 점에 의기투합한 결과다.
안 대표로서는 호남을 대표하는 정치인인 박 의원과 손을 잡음으로써 당의 기초를 튼튼히 하고, 연말 전당대회까지 당을 안정적으로 이끌면서 자연스럽게 대권행보로 전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