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인 호남에서의 더불어민주당(더민주) 몰락으로 귀결된 20대 총선에 대해 전문가들은 그 원인이 뭐라고 볼까? 전문가들은 사회경제적·정치적 위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야당의 무능에 대한 질타이자, 계파주의에 찌든 낡은 야당정치가 그 원인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뿐만 아니라 공천참사에 대한 공조직의 분열과 호남에 대한 정책 및 전략 부재, 비례대표 파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호남인들이 더민주에게 등을 돌리게 했다는 의견이다.
민주정책연구원 등이 28일 국회에서 개최한 ‘더불어민주당의 호남 총선 평가 성찰과 대안’ 토론회에서 전남대 오승용 연구교수는 발제를 통해 “20대 총선을 통해 나타난 호남의 여론흐름은 야당정치 전환의 징후로 볼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호남민심은 특정 야당 지도자에 대한 호불호를 넘어 야당의 무능에 대한 질타이자, 계파주의에 찌든 낡은 야당 정치의 종식을 촉구한 경고다. 야당정치가 새로운 단계로 나가야 하는데 호남민들은 이것이 대안정당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총선을 통해)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이어 “정당 내부의 자원분배와 후보 결정과정에서 당원 영향력을 끊임없이 약화시켜왔던 관행이 가장 많은 당원을 보유한 호남의 영향력을 약화시켰고, 호남이 야당 내에서조차 주변화 되고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면서 민심이 국민의당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또 더민주의 정당 노선에도 문제가 있다고 봤다. 그는 “문제인 체제에서 시작해 김종인 체제에서 극대화된 더민주 정당 노선은 호남정치의 전통적 가치와 상당부분 충돌한다”며 “김종인 영입은 5·18민주화운동의 가치를 정면으로 훼손하는 도전으로 받아들여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햇볕정책 폐기와 대북강경 노선 등 외교안보노선의 우클릭은 (호남민들에게) 정통 야당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이는 호남 유권자들에게 더민주는 더 이상 ‘우리당’이라는 인식을 유지하기 힘들게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친노의 호남홀대론’에 대한 안일한 대응도 더민주의 호남 몰락을 불러왔다는 지적이다. 리서치뷰 안일원 대표는 “(더민주는) 2012년 대선경선 이후와 2015년 전당대회 과정에서 노출된 ‘호남홀대론’을 무마하기 위해 적극 나서지 않았다. 그 결과 호남에서 더민주의 정치적 구태와 호남홀대론이 시너지를 일으켰고, 총선패배로 이어졌다”고 진단했다.
호남의 지지를 회복하기 위해 더민주가 취해야할 지향점도 제시됐다. 더민주 김성주 국회의원(전주병)은 “더민주는 원내 제1당으로서 역할을 강화해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는 수권정당이라는 믿음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중앙당에서의 호남 대표성을 강화해야 한다. 호남에서 국민의당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더민주가 호남의 이익을 대변하고 수호하는 정당이라는 인식을 분명하게 줘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호남출신의 당내 중용이 더 필요하고, 시·도당을 혁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