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에서는 정기국회가 끝나는 12월까지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 체제를 유지하자는 ‘전대 연기론’과 6월 말~7월 초에 실시하자는 ‘조기 전대론’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절충안인 ‘8말9초(8末9初)’ 개최론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는 논란이 주류와 비주류 간 대립구도로 비화할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3일 예정된 국회의원 당선인-당무위원 연석회의에서조차 결론내지 못한다면 국민적 비판에 직면할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 내년 대선까지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의 역할이 필요한데 총선이 끝났다고 해서 마치 팽(烹)시키는 듯한 모양새로 비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적어도 8월말까지 김 대표가 당을 맡도록 해 김 대표의 체면을 살리면서도 조기전대론자의 요구를 일정 부분 충족하는 타협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김종인 역할론’을 명분으로 절충점을 찾겠다는 뜻으로 여겨진다.
조기전대론자였던 우상호 의원은 PBC 라디오에 출연해 “김 대표가 정권교체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하도록 할 것이냐를 당에서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김 대표가 하고 싶어하는 역할을 잘 청취해 대책과 기구 등 배려를 하면 될 문제”라고 말했다.
김 대표 측에서도 전대 준비 절차 등을 고려하면 6~7월 전대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말이 나온다. 지방조직 정비 작업이 선행돼야 하는데 최소 2~3달의 기간이필요하다는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