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급증하는 전북 (상) 실태·원인] 취업난에 청년도 은퇴자도 '창업'

27만5000명, 작년보다 1만9000명 늘어 / 지역경제 상황 악화, 전국 감소세와 대조

전국적으로 자영업자 수가 큰 폭으로 줄고 있는데 반해, 전북지역에서는 경기불황 속에서 자영업자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IMF 위기때 그랬던것처럼 장기 경기침체로 인해 직장에서 내몰린 40~50대와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해 불안해진 60대 이상 자영업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마음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들이 요식업, 숙박업, 서비스업 등 생계형 창업으로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특히 무급으로 가족 사업체에서 일하는 종사자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도내 고용상황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생산, 수출 소비지수가 지속적으로 하락세로 접어들고 있는 전북의 산업현황과도 무관하지 않다.

 

생계형 자영업자의 증가는 지역 내 부가가치 증대와 고용의 질에도 부정적인 전망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두 차례에 걸쳐 도내 자영업자들의 실태와 현황을 살펴보고 대안을 짚어본다.

 

4년 간 휴대폰 대리점을 운영하다 폐업한 정명수 씨(41·전주시 평화동)는 업종을 음식점으로 바꿔 다시 자영업에 뛰어들 생각이다. 40대의 나이에 재취업할 마땅한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정 씨는“회사생활과 자영업이 둘 다 경험해 봤지만, 중소기업에 다시 취직하면 박봉·격무에 시달릴 것 같다”며“자영업이 가장 힘들었지만 당장 할 수 있는 일도 내 사업을 하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15일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에 따르면 올해 도내 비 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는 27만5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1만9000명(7.5%)증가했으며, 이 중 영세자영업자로 분류되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22만명으로 1만5000(7.0%)명이 증가했다.

 

이처럼 자영업자가 늘어나면서 무급가족종사자도 6만8000명으로 전년보다 2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국의 자영업자는 전년대비 9만8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5만6000명씩 감소했다.

 

중소기업청에서 실시한 ‘자영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표 창업 업종인 숙박 및 요식업의 경우, 취업자 1인당 부가가치액은 연간1079만 원으로 산업평균(4332만 원)에 크게 못 미친다. 또 고용인원도 평균 1명에 달하지 않는 업체 비중도 65.4%에 달한다.

 

또 전북지역은 지난 10년간(2003~2012년기준) 개인사업자 31만3684명 중 26만6386명이 폐업해 겨우 4만7298곳만 생존했다.

 

전북의 경우 대기업·중견기업이 턱없이 부족해 대부분 청년이 구직활동을 공공기관 공채에 의존하는 현실도 생계형 자영업자가 늘어나는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1955년부터 1963년 사이 태어난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퇴직 뒤 새 일자리를 구하기보다 창업을 선호해 이 같은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악화되고 있는 전북지역 경제상황도 도민이 자영업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상공회의소가 분석한 ‘2016년 4월 전북지역 경제동향’자료에 따르면 △생산 5.0% 감소(전국 2.4% 증가) △수출 14.8% 감소(전국 14.6% 감소) △고용률 55.7%(전국 58.7%)로 각종 경제 지표가 전국 평균수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도내에 주소지를 둔 개인사업자 평균소득은 2140만 원(전국평균 2940만 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꼴찌에서 두 번째다.

 

자영업자의 폐업률을 줄이고 창업자들의 수익률을 높이는 지원 방안과 함께 자영업 시장에 몰려드는 구직 수요를 분산시키는 일자리 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