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시민사회단체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옥시 제품에 대한 본격적인 불매 운동에 나선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대부분의 대형할인점이 여전히 옥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전북도는 도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환경단체, 정치권 등과 함께 간담회를 진행하는 등 자치단체 차원의 적극적인 피해자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전북환경운동연합과 전북약사회 등 도내 32개 시민사회단체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은 16일 전주시 효자동 롯데마트 앞에서 지난 10일부터 1주일 동안 진행한 옥시 제품 집중 불매운동 기간에 대한 경과를 보고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회견에서 “아직도 도내 대형할인점이 옥시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며 “대형할인점 계산대 앞에서 옥시 제품의 즉각 철수를 요구하는 강도 높은 시위를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회 소비자정보센터 김보금 센터장은 “도내 롯데마트와 이마트, 홈플러스 측은 여전히 옥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비판한 뒤 “오히려 지역 중소마트인 유명마트가 2주 전 옥시 제품 전체를 매장에서 뺐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마트는 ‘현재 입고된 재고품이 소진될 때까지만 판매하겠다’고 밝히고 있고, 다른 대형할인점은 본사에서 아직 지침을 내리지 않았다는 이유를 내세워 옥시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센터장은 “현재까지 전북소비자정보센터에 접수된 가습기 살균제 4차 피해 상담 신청이 27건에 달한다”며 “피해자들이 ‘피해를 접수하려면 어디로 가야 하는지, 피해접수 전화번호가 무엇인지, 내가 피해자인지’ 등을 알 수 있는 정보가 전혀 없는 만큼 집중 피해창구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사무처장은 “검찰 수사가 코앞으로 다가오자 대형할인점 대표가 마지못해 ‘피해자 보상기금을 마련하겠다’고 사과했지만, 현장에서는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 3차 신청자 강은 씨(47·완주군 봉동읍)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 대응 과정을 보면 엉터리 정부였고, 엉터리 국가였다”며 “지역사회가 관심을 갖고 가습기 살균제 피해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호소했다.
참여자치시민연대 이창엽 사무처장은 “대형할인점들은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옥시 제품을 판매하지 말아달라는 상식적인 요구에도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전북도는 17일 오후 5시 도내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환경단체, 정치권 관계자들과 함께 자치단체 차원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전주시도 조만간 가습기 살균제 4차 피해접수 전담창구 설치 등 보다 실효적인 대책마련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