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민들은 지역 내 인권침해 가해자로 군대 상급자, 공무원 순으로 꼽고 있다.
전북연구원은 18일 이 같은 내용의 ‘도민 인권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에 참여한 도민들은 ‘지역에서 인권침해를 가장 많이 하는 대상(1순위)’으로 군대 상급자(15.9%), 공무원(15.1%), 경찰(11.3%), 언론인(10.7%), 검찰(9.1%), 교도소 등 구금시설 직원(8.0%) 등의 순으로 꼽았다.
공무원에 해당하는 경찰·검찰·교도소를 포함하면 국가권력의 인권침해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55.9%는 ‘전북도에서 인권이 존중되고 있다’고 답했고, 전북도의 인권정책 방향의 우선순위로는 ‘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권리보호’가 꼽혔다.
응답자 중 인권교육을 받은 경우는 39%로 다소 낮았고, 인권교육을 받은 장소로는 직장(36.2%), 교육기관(3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도내에서 인권증진을 위해 가장 노력해야 할 대상으로는 도지사 및 시장·군수(35.5%)가 첫 손에 꼽혔다.
특히 ‘인권침해나 차별을 당했을 때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4.2%를 차지해 도민들이 인권침해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지역 내에서 가장 심각한 인권침해로는 ‘신문, 방송, 인터넷 등에 개인정보가 공개되는 것’이란 응답이 65.6%를 차지했다.
이번 도민 인권실태조사 결과는 전북도의 도민인권증진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실태조사를 맡았던 이중섭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 결과는 향후 전북 인권정책의 기본방향을 설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며 “도는 인권취약계층을 비롯한 도민의 인권의식에 근거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인권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전북도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인권지킴이단 발대식’을 열었다. 도는 인권에 관심이 많은 도민 150명으로 구성된 인권지킴이단을 통해 지역 사회적약자들의 인권 개선을 위한 활동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번 도민 인권실태조사는 지난 2월 29일부터 이달 8일까지 도민 118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이 618명(57.6%)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여성이 667명(56.4%), 연령별로는 40~64세가 469명(39.6%) 등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