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최근 5년간 국내 일자리 창출의 90% 가량을 담당했지만, 대기업과의 임금격차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5일 발간한 ‘2016 중소기업 위상지표’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은 총 354만2350개(2014년 기준)로 전체 사업체의 99.9%를 차지했다.
종사자는 1402만7636명으로 총 고용량의 87.9%를 중소기업에서 맡고 있다.
2009년과 비교할때 중소기업 사업체수는 15.5%, 일자리는 19.4%나 늘어난 것이다.
결국 국내 산업을 지탱하는 기업 10곳 중 9곳, 인력 10명 중 8명 이상을 중소기업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산업의 중요한 축인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갈수록 임금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임금 수준은 2009년 대기업 대비 61.4%였으나, 2015년에는 60.6%으로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체의 중소기업 임금은 대기업의 57.6% 수준에서 54.1%로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국내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중소기업이 293만8000원, 대기업이 484만9000원이었다.
이와 관련, 도내 중소업계 관계자들은 “중소기업 고용 비중이 늘고 있는데, 대기업과의 격차가 여전히 지속된다는 것은 그만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가 심각해진다는 것을 말해준다”며 “성장과 분배가 조화를 이루는 바른 시장경제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