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품 업사이클링센터 무산 위기

전주시, 노송동 선미촌에 50억 들여 건립 추진중 / 기재부 부정적…도시재생 차원 정치권 관심 필요

전주시가 재활용품을 수선하고 정비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만드는 ‘업사이클링 센터’ 신축사업을 추진중인 가운데 이 사업에 대한 정부 부처간 이견으로 자칫 사업이 무산될 가능성이 제기돼 정치권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전주시에 따르면 시는 전주시 중노송동 선미촌 2000여㎡의 부지에 50억원(국비와 시비 각 50%)을 들여 ‘전주 업사이클링 센터’를 건립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다.

 

리사이클링의 상위 개념으로 새로운 가치를 더한다(upgrade)는 의미를 담은 ‘업사이클링’은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차원을 넘어 디자인을 가미하는 등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말하며, 전주 업사이클링 센터에는 공방과 전시 판매장 등이 설치될 계획이다.

 

현수막을 재활용해 장바구니를 만들거나 음식물 쓰레기를 지렁이 먹이로 활용, 지렁이 배설물 비료 등을 업사이클링 상품으로 만든다는 것.

 

전주 업사이클링 센터 건립을 위해 전주시는 내년 예산에 10억원을 세워놓은 상태다.

 

그러나 국비 확보 과정에서 정부 부처간 인식 차이로 사업이 자칫 무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달 부처 예산안 마감을 앞두고 전주 업사이클링 센터 사업을 예산안에 포함시켰다. 전주시가 노송동 ‘선미촌’ 부지를 업사이클링 센터 대상지로 제시했고 이미 시비 10억원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부와 달리 기획재정부는 이미 국비가 지원된 서울과 경기, 대구, 인천, 순천 등 5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업 추진이 미흡했다는 이유로 업사이클링 센터 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에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전주시 관계자는 “전주 업사이클링 센터 건립사업은 일자리 창출과 성매매 집결지 ‘선미촌’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국가정책이자 전주시 주요 정책인 ‘도시재생’에도 부합하는 사업”이라며 “기획재정부와 국회의 예산심사 단계가 남아있지만 국가 예산에 업사이클링 센터가 포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