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외국인 의료관광' 유치 뒷짐

타 시·도 비해 정책적 지원 부족…관련 조례도 없어

한국 의료기관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30만 명에 육박하는 가운데 전북도는 의료관광 정책 수립에 소극적으로 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전북의 외국인 환자 유치 규모는 전국 1%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전북도는 ‘의료관광 활성화에 관한 지원 조례’가 제정되지 않은 상태로 다른 시·도에 비해 자치단체 차원의 정책적인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미 서울, 부산, 대구, 대전, 충남, 충북, 경남, 전남 등은 관련 조례를 제정해 지원하고 있다.

 

외국인 환자 유치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만큼 자치단체와 의료기관의 의료·관광 프로그램 개발, 인프라 구축 등 적극적인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15년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한국 의료기관을 찾은 외국인 환자는 29만 6889명으로 2014년 26만 6501명보다 11.4% 증가했다. 2009년 외국인 환자는 6만 201명으로 6년 새 5배가 증가한 셈이다.

 

이들이 사용한 진료비는 총 6694억원으로 1인당 평균 진료비가 225만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이 지난해 유치한 외국인 환자는 3935명으로 2014년 2590명에 비해 무려 51.9% 증가했다. 외국인 환자 수는 전국적인 추세에 맞춰 2009년 695명에서 2011년 2104명, 2013년 2228명, 2015년 3935명으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다만 전국적으로 볼 때 외국인 환자 비율은 2012년 1.4%, 2013년 1.1%, 2014년 1.0%, 2015년 1.3%로 1%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