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생태의 지표종인 전주 삼천 반딧불이가 주민 재산권 침해와 예산낭비 논란의 소용돌이에 흩날리고 있다. 전주시는 생태자원 보존이라는 취지에서 전주 삼천 반딧불이 생태 관광지 조성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부득이할 경우 사업 대상지 이전도 고려 중이다.
30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오는 2024년까지 10년 계획으로 전주시 원당동 학전마을 인근에 73억원을 들여 ‘삼천 반딧불이 생태 관광지’를 추진하고 있다. 부지 매입을 위한 13억원까지 포함하면 총 예산 86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주요 사업 내용은 1만㎡ 부지에 하천숲을 조성하고 660㎡의 생태탐험센터를 건립하는 것으로 올해 6억원(국비 4억원, 도비 2억원)의 예산이 배정돼 있다.
앞서 시는 지난해 전주비전대학교 산학협력단에 52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용역을 마쳤다.
문제는 학전마을을 비롯한 인근 주민들이 생태 보존지역이 될 경우 재산권이 제한된다며 사업에 반대하고 있고, 시의회 일부에서 예산낭비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사업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전마을을 비롯한 주민들은 삼천 상류 지역이 과거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피해를 입었었는데 또다시 반딧불이 생태 관광지가 조성될 경우 토지가격 하락 등이 우려된다며 사업을 반대하고 있다.
주민들은 현재 사업부지 일대에 지정된 농업진흥지역을 경관농업지역으로 변경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는데 반딧불이 생태 관광지가 조성될 경우 경관농업지역으로의 변경이 이뤄지지 못할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은 지난 9일에는 전주시장실을 방문해 삼천 반딧불이 생태 관광지 조성사업 철회를 요구하기도 했다.
여기에 일부 시의원들은 주민반대가 있는 이상 현 예정부지에 반딧불이 생태 관광지 건설을 해서는 안된다며 사업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전주시는 지난 3월 이후 모두 3차례에 걸쳐 주민 설명회를 가졌지만 협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민 반대가 계속될 경우 2~3곳의 다른 후보지를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