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삼학동 주민자치위원이 위원 전원을 스스로 해촉하기로 의결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삼학동 주민자치센터와 주민자치위원회간 소통의 부재에 따른 갈등 증폭 때문으로 보인다.
삼학동 주민자치위원장 A씨는 지난 2월1일자로 2년의 법적 임기가 완료(2012년2월2일 취임, 연임) 됐으나 이후 주민자치센터의 별다른 행정계도가 없어 A씨의 위원장직 수행은 계속됐다.
그러나 4월초 열린 동정보고회에서 A위원장 임기에 대한 문제가 거론되면서 후임자를 선출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이에 대부분의 위원들은 “위원들과 단 한마디 상의 없이 위원장을 교체하는 것은 민의를 거스른 처사”라며 반발했다.
급기야는 4월27일 주민자치위원회를 열고 위원 21명 전원을 스스로 해촉하기로 하는 ‘주민자치위원회 위원 전원 해촉 건’을 상정시켰지만 위원장 부재 등의 이유로 무산됐다.
주민자치위원회는 5월 다시 동일 안건을 상정시켜 최종 21명 위원 전원 해촉이라는 결정을 내리기에 이렀다. 결국 삼학동 주민자치위원회는 사실상 와해됐고 이 같은 갈등은 부녀회, 그리고 통장단까지 번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주민자치위원들에 따르면 풀뿌리 자치센터 근간이 되는 위원 및 위원장 해촉과 관련한 의견수렴 및 충분한 대화나 협의가 이뤄져야 하지만 이같은 절차가 모두 생략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삼학동주민자치센터의 입장은 달랐다. 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는 ‘군산시 주민자치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따라 위원장 선출 문제는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것이다.
특히 삼학동주민자치센터는 사전에 수차례에 걸쳐 A동장에게 이같은 현실을 이야기한 뒤 “2년간 고문으로 같이 활동한 뒤 그 후 다시 위원장 직을 맡아 달라”고 대화를 했다는 것이다.
결국 주민자치센터와 주민자치위원회의 주장대로라면 두 기관 모두 ‘소통의 부재’에 따른 갈등이 빚어진 것이다.
더욱이 B삼학동장은 지난 2월5일 새롭게 동장으로 취임한 후 3월부터 4월 29일까지 사무관 리더교육 출장에 나선 공백으로 인해 이같은 갈등은 더욱 커진 것으로 보인다.
삼학동 한 주민자치위원은 “우리가 공무원도 아니고 스스로 돈을 내고 봉사하면서 삼학동 발전을 위해 일을 하는 사람들로 누구의 눈치도 볼 게 없다”며 “반면 삼학동주민자치센터는 마치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만 가려내려는 듯 한 움직임을 보여 대부분 위원들이 이에 반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B삼학동장은 “수차례 A위원장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고문을 맡아 줄 것을 부탁드려 봤다”며 “하지만 왜 위원 전체가 스스로를 해촉하는 결정을 내렸는지 이해할 수 없으며, 정말 동을 어떻게 끌어가야할 지 고민이 앞선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