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해안 쓰레기로 '몸살'

고군산·부안·고창 등 연간 4000여톤 발생 / 원인 분석 체계 갖추고 수거 예산 늘려야

전북지역 해안에 해양쓰레기가 넘쳐나고 있다.

 

연간 4000여t(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예산 부족으로 수거되는 해양쓰레기는 전체 해양쓰레기의 3분의 1 가량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와 시·군이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1483t이다.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확보한 국가예산에 따라 매년 변동되며, 연도별로는 2013년 990t, 2014년 1811t이다.

 

이에 따라 수거되지 않고 해안에 방치되거나 바다로 침적하는 쓰레기는 수 만t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도내 해양쓰레기는 주로 고군산군도나 부안·고창지역의 해안가에서 수거되고 있으며, 육지 생활쓰레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시스템으로는 해양쓰레기양을 정확히 추산하기 어렵다”면서 “주로 매년 8월 이후 태풍·홍수·호우 등을 통해 해상으로 유입되는 육지 생활 쓰레기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양식장과 외국에서 유입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최근 해양수산부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해양쓰레기 수거량 누계치를 분석한 결과, 외국 유입은 5% 수준이며 이 가운데 중국(79%)이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이런 해양쓰레기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도내 섬과 해수욕장 등을 찾는 관광객에게 좋지 않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 또, 장기간 방치된 해양쓰레기는 바다·해안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도 꼽힌다.

 

이에 도와 군산시는 지난달 31일, 다음달 초 연결도로가 부분 개통되는 고군산군도 일대를 중심으로 각종 해양쓰레기 30여t을 수거했다.

 

하지만 해양쓰레기의 원인 및 발생량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고, 국비 등 예산 부족으로 해양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해양쓰레기 문제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해양쓰레기 수거 예산의 경우 해당 자치단체에서 절반 가량을 부담하고 있다. 국비가 더 늘어나면 해양쓰레기 수거가 보다 원활해질 것으로 보인다”며 “도내 어업인 및 시·군과 협력해 연결도로가 놓이는 고군산군도 해안을 중심으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 2월부터 전국 377개소 해안에 대한 쓰레기 오염 실태조사에 들어갔다. 해양수산부는 지역별로 발생하는 해안 쓰레기양을 파악해 전국 해안의 오염지도를 작성하고 오염 우려·심각지역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