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민이 내는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전국 시·도 중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타 지역에 비해 낮은 땅값과 저조한 기업 유치·지역경기 침체 등이 주된 요인으로 꼽혔다.
15일 행정자치부 내고장알리미(www.laiis.go.kr)에 따르면 지난해 도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은 48만4000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적었다.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은 지방소득세, 지방소비세, 취득세 등 지방세액을 해당 지역의 인구수로 나눈 것이다.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가장 많았던 세종시(167만7000원)의 3분의 1 가량에 불과하다.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100만원을 상회하는 서울시(140만9000원)·인천시(101만1000원) 등 수도권과의 격차도 크다.
이명박 정부 때부터 이어진 수도권 규제완화로 기업 유치가 어려워지면서 수도권과 지방 간 부의 격차가 커진 것이다.
지방세수 증가에 큰 몫을 담당하는 대기업 및 중견기업이 인구에 비해 많고 부동산 거래가 활성화된 지역에서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높았던 반면에 지역 내 기업이 적어 성장동력이 침체된 지역은 지방세 부담액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도내 각 시·군별 1인당 지방세 부담액도 최대 4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도내 시·군별로 보면 지난해 완주군의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83만1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완주군의 경우 전북혁신도시 조성과 산업단지 입주 등 신규 세원확보 효과를 톡톡히 봤다.
이어 군산시 53만8000원, 전주시 43만6000원, 김제시 42만원, 무주군 38만7000원, 익산시 37만6000원 등의 순이다. 순창군이 23만4000원으로 가장 적었다. 특히 법인이 부담하는 지방세의 규모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주민 소득보다는 시·군별 기업 분포의 차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인구에 비해 기업체가 적고 재정이 열악한 지역일수록 지방세 부담액이 적다. 지방세 수입이 많을수록 재정 건전성이 향상되고 복지증진과 생활환경 개선 등 주민 숙원사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