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성폭행 사건으로 시설폐쇄가 결정된 전주자림원과 자림인애원에서 생활하던 장애인 120여명이 8개월 만에 전주시의 탈(脫) 시설과 전원 조치 정책으로 새 삶을 살게 됐다.
전주시는 21일 신규 등록된 장애인 거주시설인 금선백련마을에 기존 전주자림원 거주 장애인 14명과 자림인애원 거주 장애인 18명 등 32명에 대한 전원 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원 조치를 마지막으로 지난해 10월부터 순차적으로 이뤄진 자림원과 자림인애원 거주 장애인 129명에 대한 탈 시설과 전원 조치가 모두 마무리 됐다.
129명의 장애인들에 대한 조치는 도내 다른 시설 전원 조치 43명, 탈 시설(공동생활가정, 체험홈) 40명, 신규 시설 입소 32명, 도외 전원 조치 10명, 자연사 3명, 퇴소 1명 등이다.
이 같은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대규모 이주 사례는 전국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이라는 게 전주시의 설명이다.
시는 지난해 7월 완료한 장애인 거주시설 욕구조사 및 탈 시설화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이용 장애인의 욕구에 맞춰 이주 정책을 실시해 왔다.
시는 향후 예산 확보 등을 통해 공동생활가정을 추가로 설치·운영하는 등 다른 중증 장애인시설 거주 장애인들에 대해서도 장애 정도와 자립 가능성, 욕구변화 등을 고려해 탈 시설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전주시 복지환경국 관계자는 “비록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시작된 탈 시설 및 전원 조치이지만, 이를 통해 장애인들이 보다 나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모든 장애인들이 인간적인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들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과 관련 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