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을 끌어온 영남권 신공항 건설계획이 ‘백지화’ 된 가운데 전북 정치권에서는 새만금 공항 건설에 대해 “지역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보다는 거시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의 배경에 대구·경북과 부산·경남으로 갈린 첨예한 지역갈등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전북에서도 새만금 개발사업의 지역 행정권을 둘러싸고 군산시와 김제시, 부안군이 6년째 소송을 불사하며, 이전투구를 벌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현재 군산공항 인근 새만금 공항부지와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 일대가 새만금 국제공항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전북에서도 ‘대구·경북 VS 부산·경남’과 같은 갈등양상이 벌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점쳐진다.
전북지역 여야 3당 정치인들은 “영남권 신공항이 무산된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지역 이익을 앞세우기 보다는 전북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군산시, 김제·부안을 지역구로 둔 의원들도 “새만금 국제공항은 한-중 경협단지 조성 등 향후 국제산업단지로서의 기능을 확대하기 위한 국책사업으로, 항공수요도 충분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며 지역갈등과 별개로 차질 없이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군산)은 “새만금국제공항 건설 부지선정을 앞두고 군산, 김제, 부안 등 지역갈등이 야기될 수도 있겠지만, 전북 전체의 경제발전과 항공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어느 곳이 공항부지로 지정되던 대승적으로 수긍하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민의당 김종회 의원(김제·부안)도 “ ‘어느 지역에 공항을 건설해야 되느냐’를 따질 게 아니라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가장 경제적 효율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지역에 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새만금 공항부지를 지역구로 두지 않은 의원들은 지역갈등을 막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더불어 민주당 이춘석 의원(익산 갑)은 새만금 공항건설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의원은 “국책사업이란 차원에서 공항부지 선정을 할 때도 정치권과 해당 자치단체가 함께 논의해서 관련 절차를 빨리 진행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정운천 의원(전주을)은 거시적인 시각에서 새만금 신공항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도내에 새만금 전체를 보고 전략적 방안을 세울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공항건설 하나만 보면 지역 이기주의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국민의당은 ‘김해공항이 신공항이라고 하는 것은 지록위마(指鹿爲馬)’라는 논평을 내고, “그동안 신공항 건설을 한다면서 지역간의 갈등을 조장하여 민심을 갈라놓고는 이제 와서 묘수라도 찾은 듯 행동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고 질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