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정양립 지원제도의 소외계층인 남성과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연구원은 22일 정책브리프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일·가정양립지표로 본 전북의 현황 및 특성’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사용비율, 유연근무제 활용 등 전북의 일·가정양립 여건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출생아 수 감소로 전국의 출산전후휴가 사용 인원이 줄고 있지만, 도내의 경우 2014년 출산전후휴가 사용 인원은 1903명으로, 전년(1898명) 대비 0.3% 증가했다. 또한 도내 육아휴직 사용자도 지난해 1776명으로, 전년(1403명) 대비 26.5% 늘었다.
수요자의 선호도가 높은 국·공립어린이집은 전체 어린이집의 3.3%에 불과하지만, 어린이집 의무 설치율은 84.4%로 전국 평균(75%)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
맞벌이부부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남성이 48시간인데 비해 여성은 38.6시간으로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를 모범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도내 가족친화인증기업은 지난해 기준 모두 19곳으로 전년 7개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전북연구원은 이런 일·가정양립 지원제도의 주요 수혜자가 여성과 정규직·대기업으로 한정된 만큼, 앞으로는 남성과 비정규직 등으로 정책 수혜가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경욱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계층에 대한 지원과 함께 유연근로제도 및 정시퇴근제 준수, 모성보호를 위한 일·가정 양립패키지 제도 도입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