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사상 최악의 위기에 직면한 전북지역 경제를 회생하기 위해선 ‘중장기적 발전계획 수립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인적 자원’확보에 매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북은 다른 지역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현격히 적어 저성장시대를 돌파할 성장동력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유남희 전북대 산학연구처 부처장은 지난 30일 “저출산·고령화가 지속되면 지역 성장동력이 악화될 것이다. 경제활동인구는 줄어드는 반면에 노년층은 늘어나고 있다”며 “자치단체별로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가 높은 출산장려책을 마련하고, 국가적으로는 아이를 양육하는데 드는 비용을 보조하는 비율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유 부처장은 또 “육아와 사교육에 대한 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면 저출산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다”며 “일·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풍토가 조성되면 자연스럽게 성장동력도 강화된다”고 말했다.
더불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기업 투자유치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동창 전북경영자총협회 부회장은 “지역 경기가 큰 위기에 봉착했다. 현재 군산국가산업단지의 가동률이 18%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도내 기업인들을 만나보면 한 목소리로 ‘요즘처럼 힘든 적이 없다’고 하소연한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기업 유치를 할 때는 적극적으로 매달리던 자치단체가 막상 기업이 오면 제대로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면서 “자치단체가 이전 기업의 애로사항을 귀담아 듣고, 적절한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전 기업이 전북에서 자리를 잡고 사업을 확장하도록 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도민 소득 증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바이오산업과 농생명 육성 등 전북도의 핵심사업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진념 전 경제부총리는 “중국 등 세계시장 진출의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며 “중국 내수시장을 겨냥한 농식품산업 육성 전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양질의 인재가 지역 내에서 양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역 산업과 연계된 선도기업 유치에 공을 들일 것도 제안했다. 진 전 부총리는 “기업이 지역에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들여다 봐야 한다. 기업이 투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수요자 관점에서 보고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