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지난 2008년 초 군산으로 유치가 확정됐다.
군산 2국가산단 내 총 180만㎡(54만5000여 평)에서 같은 해 기공식을 하고 총 1조2000억 원을 투입, 도크와 골리앗크레인을 건설하고 의장안벽공사를 끝내 지난 2010년 준공했다.
준공 이후 조선업 현황이 내리막길을 걸었지만, 군산조선소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컸다.
군산조선소의 2015년 자체분석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고용유발이 5700여 명에 이르고 군산 시내에서 소비지출비용은 550억 원에 달했으며 지역 업체와의 거래액도 26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관내 141개 업체와 생산지원분야에서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선박수출액은 전북 수출의 7.2%를 차지하는 등 전북 수출의 견인차 구실을 해 온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이런 군산조선소가 현대중공업의 수주부진으로 철수가 예상되는 최대 위기에 봉착했다.
현재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직원 50명이 희망퇴직으로 직장을 떠나 700명만 남았고 북적거렸던 사무직 사무실은 과거와는 달리 썰렁함을 보인다.
군산조선소의 도크 가동 중단 가능성이 언급됨에 따라 공장 가동 중단을 넘어 조선소의 철수설마저 고개를 들고 있어 근로자들은 동요하고 있으며 직원들의 분위기는 어수선하다.
그동안 울산·삼호·미포 조선소 등과는 달리 1개의 도크만 있는 군산조선소가 도크가동중단의 1순위가 될 것으로 예측돼 온 가운데 ‘조선소의 심장’이라는 도크를 닫는 가능설이 발표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내년 7월이후 건조물량이 없음에도 그나마 배정됐던 LPG선 2척의 건조물량마저 울산으로 재배정됐기 때문이다.
특히 조선소 주변에서는 조선소측이 ‘그만둘 것인가, 울산서 근무할 것인가’를 놓고 직원들과 면담했다는 등 별의별 소문이 파다하게 나돌고 있다.
물론 조선소 측은 ‘그런 일이 없다’고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지만, 상황이 좋지 않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년 7월 이후 선박건조물량이 바닥남에 따라 선박건조계획을 고려할 때 올해 말부터 선체블럭을 제작하는 사외 협력업체들부터 일감이 부족하거나 떨어져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우려된다.
도크가동이 중단되고 나아가 군산조선소가 철수한다면 수많은 협력업체의 도산은 물론 공장 내 40개 협력업체 3400명의 직원과 군산 관내 10여 개 사외 협력업체 1340여 명 근로자들의 대량 실직이 우려된다.
또한, 군산조선소와 관련돼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근로자 약 6,000명과 가족 등 약 2만 명이 타격을 입게 됨으로써 군산은 물론 전북경제는 나락의 길로 빠져들 수밖에 없다.
도내 정치권은 물론 전북도와 군산시가 진상을 면밀하게 파악, 도크의 가동률이 떨어지고 일시 중단되는 일이 있더라도 최소한 군산조선소가 철수하는 일이 없도록 조속히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