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현대車·군산 현대重 정상화 힘 모으자"

전북 12개 경제단체, 도민 관심 참여 호소

▲ 25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 등 도내 12개 경제단체 대표들이 현대자동차 전주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정상화를 위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안봉주 기자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정상화를 위해 전북도민 모두가 힘을 모아 주십시오”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한국무역협회 전북지부·중소기업중앙회 전북본부·전북경영자총협회 등 전북지역 12개 경제단체는 25일 도청 기자회견장에서 현대자동차 전주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경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도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호소하고 나섰다.

 

이날 이선홍 전주상공회의소 회장은 범도민 호소문을 통해 “전북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는 현대자동차 전주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위기에 따른 전북도민의 안타깝고, 절박한 심정은 이루 말할 수 없다”며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의 버스 생산량 상향 조정을 노사가 원만히 합의하고,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존치를 위한 정부의 지원책 마련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은 780억 원 규모의 투르크메니스탄 시내버스 수출 계약을 성사했고, 납품일인 오는 12월까지 생산을 완료하기 위해 생산량 30%를 증량해야 하는 상황이다. 노조는 물량 협의에 대해 일절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본사는 노조와의 협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투르크메니스탄 시내버스 물량 500대를 비롯한 전주공장 버스 생산 물량을 다른 지역으로 이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경제단체는 “시내버스 물량의 다른 지역 이관이 현실화된다면, 이관 규모에 비례하는 경제 효과 감소와 일자리 유출이 불가피하다”며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의 버스 생산 증가를 위해 노사의 신속한 합의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또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대책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들은 “약 5,000명의 근로자 실직, 80여 개의 협력업체 줄도산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에서 발주하는 계획조선과 현대중공업 자체 수주 물량을 군산조선소에 우선 배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