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 사업을 총괄하는 새만금개발청 청사의 전북지역 임시 이전이 유력시되고 있다.
새만금개발청의 현 청사는 오는 9월 12일 임대계약이 완료돼 이전이 시급한 상황이다. 2013년 9월 문을 연 새만금개발청은 국토교통부 산하 외청으로 세종시 어진동에 청사를 두고 있다. 하지만 새만금사업의 효율성을 위해 사업 현장으로 청사를 옮겨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27일 “전북권에 임시 청사를 둔 뒤 신청사로 이전할 것인지, 현 세종청사에서 바로 새만금지역 신청사로 옮길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면서 “이에 연말에 확정될 신청사 입지와 새만금 개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전북혁신도시 등 전주권이나 새만금 현장, 김제·부안지역이 청사 임시 이전지역으로 검토되고 있다. 새만금 개발 여건이 어느정도 나아지면 신청사 이전 계획이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새만금개발청은 지난 5월부터 ‘청사 이전 기본구상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이 용역은 오는 10월 말 완료될 예정이다.
임시 이전에 필요한 예산은 임대 보증금과 임대료 등 10억 원에서 많게는 20억 원으로 추산된다.
이와 관련, 세종시는 현 새만금개발청 청사를 주민 문화·복지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부터 인근 주민이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새만금개발청 청사를 활용해야 한다는 민원을 제기하고 있어서다.
이처럼 세종시가 청사 이전을 압박하고, 임대계약 연장도 불가하다는 방침을 세우면서 현 청사의 전북지역 임시 이전이 유력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대해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바로 청사를 비워줄 여건이 되지 못한다. 또, 현 청사의 활용계획이 확정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세종시와 기획재정부 등 관계기관의 입장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달 4일 새누리당 정운천 의원(전주을)은 “향후 새만금의 성패는 현장에서 기반시설을 계획대로 진행하는 것과, 국내외 투자를 많이 끌어들이는 것에 달려있는 만큼 새만금개발청의 전북이전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