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 지형의 3당 체제라는 달라진 정치 환경에서 여·야 모두 협치를 강조했지만, 야권 3당과 여당이 팽팽한 대치 전선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활동 연장,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신설, 시위 과정에서 경찰의 물대포에 맞아 중태에 빠진 백남기 씨 사건, 대우조선 구조조정 실기 의혹 등을 두고 격렬하게 대립하고 있다.
또 추가경정예산의 국회 처리 문제, 유아 무상보육(누리과정) 예산 부담 주체 등을 놓고도 양보 없는 기 싸움을 벌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더민주) 우상호·국민의당 박지원·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는 3일 국회에서 만나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기간 연장을 8월 임시국회에서 추진하고, 정부가 내려보낸 2016년 추가경정예산에서 누리과정(무상보육) 재정포함 조건을 요구하기로 합의했다.
또 야권이 가장 많이 요구해왔던 백남기 농민의 경찰폭력 사건 진상규명, 어버이연합 사태, 조선해운구조조정 등 3가지에 대해 국회 차원의 청문회를 공동 추진키로 했으며, 검찰개혁 특위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대책 특위를 구성키로 약속했다.
그러면서 야권 3당은 누리과정 예산문제와 조선해운구조조정 청문회를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와 연계한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여당이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추경 처리도 없다는 것이다.
오는 10일 시급한 현안을 처리하기 위해 예정된 ‘원포인트’ 본회의도 무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야권 3당의 공조를 통해 소수 여당을 압박하고 나선 것은 협치를 깬 것이라며 맹비난했다. 또 이를 추경처리와 연계한 부분은 전형적인 구태정치라고 지적했다.
특히 세월호특조위 기간 연장은 위법인만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고, 나머지 요구 사항에 대해서도 대체로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여당으로서는 수용하기 곤란한 요구사항을 야3당이 쏟아내고 있다. 협치를 외치던 야당이 여야 협상을 통해 실마리를 풀 생각은 안 하고 자기들 주장만 잔뜩 펼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난 1일 여야 회동에서 누리과정 예산과 관련한 정책협의체를 구성하는 데 합의점을 봤고 세월호와 관련해서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하 소위원회에 전문가와 유족 대표를 참여시켜 조사를 계속하는 대안을 제시했었다”며 “일부러 새누리당의 전당대회 연설회 일정이 있는 3일 야권 3당의 합의사항을 발표한 건 협치를 내팽개치는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