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조한 국비 확보 상황은 향후 전주시 발전의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주시는 물론 지역 정치권의 보다 적극적인 예산확보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4일 전주시에 따르면 기재부는 오는 6일까지 각 부처예산의 3차 심의를 벌이고 있다. 기재부는 3차 심의가 끝나면 당정협의를 거친뒤 대통령 보고,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다음달 2일 국회에 예산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전주시의 2017년도 국가예산 확보대상 사업은 신규 39건과 계속사업 55건 등 모두 94건으로 시의 요구액은 4689억원이다.
그러나 2차 심의가 완료된 후 3차 심의 중인 이날까지 확보된 사업은 계속(기존)사업 55건 1386억원에 그치고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 후 예산에 반영될 예정인 탄소산단과 메가탄소벨리, 산단진입로 공사와 통합예산 성격인 각종 하천 정비예산 등을 제외하더라도 대부분의 신규 사업 예산이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실제 전주역사 전면개선 사업의 경우 국토교통부에 60억원의 예산을 요구했지만 단 한 푼도 반영되지 못한 상태다.
이외에도 전주 세계전통문화엑스포 개최사업(9억), 국립보훈요양원 건립사업(47억) 역시 예산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고, 생태도시조성에 중요한 전주 생물자원보전시설 설치사업 예산은 88억원을 요구했지만 단 4억원만 배정돼 있다.
심지어 선미촌 주요 재생사업중 하나인 전주 업사이클링센터 건립 예산은 환경부와 기재부 1차 심의까지는 일부(1억3500만원)나마 반영이 됐지만 2차 심의에서 삭감됐다.
시는 신규 사업들이 지역발전의 동력이 되는 만큼 전 부서가 예산반영을 위한 논리개발과 함께 정부 부처와 기재부, 국회 등을 상대로 전방위 예산확보 활동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전주시 기획조정국 관계자는 “정부의 신규 사업 및 SOC 억제 기조가 계속되는 등 국가예산 확보가 어느 때 보다 힘든 상황”이라며 “지역구 국회의원뿐만 아니라 연고 국회의원 등 다방면의 정치권 공조를 통해 국가예산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