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 최은희 의원(더민주 비례)은 8일 저상버스정류장 개선사업 현장 점검을 실시하고, 보차도 경계석 높이와 버스정류장 디자인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날 현장 검증에서는 중증장애인이면서 전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유니버설디자인 팀장인 유승권씨가 저상버스를 직접 타보는 등 개선실태를 검증했다.
최은희 의원은 이날 “보차도 경계석 높이를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이가 높아 휠체어가 저상버스를 쉽게 오르내릴 수가 없다”면서 “아스팔트 경사 등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해 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단순히 보기 좋게 고쳤다고 끝났다고 여기는 보여주기식 행정의 전형적인 모습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최 의원은 “장애인·비장애인의 구분과 차별을 두지 않고 누구에게나 편리하게 설계하는 것이 유니버설디자인인데, 아직까지 도 행정은 장애인을 별도의 대상으로 구분 짓고 있다”면 “휠체어뿐만 아니라 유모차·노약자 등 모두를 위한 정류장이 돼야 한다”며 버스정류장 디자인의 한계를 지적하며 개선 마련을 주문했다.
최 의원은 지난해 8월 ‘전라북도 유니버설디자인 조례’를 제정했다.
도는 지난해부터 5개년 동안 15억2000만 원을 들여 상대적으로 장애인 인구가 많은 전주·군산·익산시 등 3개 시를 대상으로 저상버스 운행노선 승강장 152개소의승강장 개선과 장애인 위치표시 등 안내시설공사 등의 시설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