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전대모드, 속타는 국민의당

당 체제 정비작업도 안돼 당내 불만·불안감 표출

새누리당이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고 더불어민주당도 본격적인 전대모드에 돌입한 것과는 달리 국민의당은 당의 체계와 진로에 대해 고심하고 있다.

 

원내 1·2당인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이 전당대회 이후 대선 체제로의 전환이 예고돼 있지만, 국민의당은 여전히 당체제 정비작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9일 열린 국민의당 의원총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제기돼 오던 유력 대권주자의 영입론은 물론, 내년 대선을 대비한 당 차원의 회의체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같은 주장이 제기된 것은 상대적으로 늦을 수밖에 없는 전대와 더딘 당 체제정비 속도에 대한 당내 불만 및 불안감이 자리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배숙 의원(익산을)은 “새누리당이 오늘 전대에서 당 대표를 뽑으면 대선 준비에 나설 것”이라며 “우리 당도 국민집권전략회의 같은 것을 가동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이용호 원내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조 의원은 이어 “당 차원에서 대선후보급을 영입하는 움직임도 보여주면 좋겠다”면서도 “너무 낮출 필요 없다. 우리당에는 안철수·천정배·정동영·박지원 같은 분들이 있다”며 자강론을 언급했다.

 

이에 대해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조 의원이 언급한 전략TF와 같은 것은 고민해보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의총에서는 당 체제 정비의 문제점과 함께 당 사무처에 대한 불만도 토로된 것으로 전해졌다.

 

유성엽 의원(정읍고창)은 “지방조직이 아직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한 상태여서, 중앙당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지역에서 내는 당비를 해당지역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황주홍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도 “ ‘네트워크 정당’이란 애매한 구호로 가면 당 조직을 제대로 건설하기 어렵다”면서 “당헌에 당 재원 등 자원의 50%는 지방에 보내는 것으로 해야 지방이 살아 움직인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같은 생각이다.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이 있으면 당 재정에서 빌려서라도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로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소속 비례대표 의원들 중 1명이 당에 1000만 원의 기탁금을 내지 않고 있는 점, 비례대표 의원을 전국 각지 지역위원장에 임명하는 문제 등도 이날 의총에서 논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