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정당 사상 최초 호남 출신 당 대표가 탄생되면서 탕평인사가 이뤄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가 11일 청와대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신임 지도부와의 오찬 회동에서 정부에 탕평인사를 적극 건의해, 향후 정부 개각 과정에서 전북을 포함한 호남 출신의 중용 등이 기대되고 있다.
‘호남 인사 차별’ 문제를 지속 제기해 온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이날 오찬 자리에서 개각과 관련해 “탕평인사, 균형인사, 능력인사, 소수자에 대한 배려 인사도 조금 반영이 됐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3일 새누리당 8·9전당대회를 앞두고 전주 화산체육관에서 열린 호남권 합동연설회에서 호남출신 인사 차별과 관련 “태어난 지역 때문에 인사의 불이익을 받는 것은 엄연한 인권유린이고, 범죄행위”라고 강력 성토하면서 “영토를 넓게 쓰듯이 인재도 널리 써야 한다”며 인사 탕평책을 강조했다.
개각을 포함한 이 대표의 여러 건의에 대해 박 대통령은 “감사하다”면서 “여러 가지 말씀하신 것에 대해 참고를 잘 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전북 출신 인사 홀대가 해소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북은 현 정부들어 3년째 무장관 시대를 맞고 있으며, 이명박 정부 이래 10년 가깝게 김관진 전 국방부장관(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제외한 나머지 부처 장관 자리에서 전북 출신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이다. 차관도 마찬가지로 부안 출신 박민권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이 최근 교체되면서 전북 출신 차관은 지난해 11월 임명된 최정호 국토교통부 제2차관 1명뿐이다. 특히 장·차관급으로 올라갈 수 있는 중앙행정기관의 실·국장, 국가예산을 심의하는 기획재정부 등 주요 부처도 전북 출신 고위공무원은 손가락에 셀 정도로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