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권 후반기 개각에서 전북 출신의 중용을 기대했던 도민들의 열망이 물거품이 됐다.
16일 단행된 개각에서 전북 출신 장관이 배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 개각에서 전북 출신 장관 배출을 기대했던 도민들은 실망을 넘어 분노를 표출하는 모양새다.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문화체육관광부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등 3개 부처에 대한 개각을 단행했다.
문체부 장관에는 조윤선 전 여성가족부 장관, 농림은 김재수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환경부는 조경규 국무조정실 제2차장이 각각 내정됐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이날 4개 부처 차관급 교체 인사도 단행했다.
국무조정실 2차장에는 순창 출신의 노형욱 기획재정부 재정 관리관, 산업부 1차관에는 정만기 청와대 산업통상자원 비서관을 임명했다. 또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에 박경호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를, 농촌진흥청장에는 정황근 청와대 농축산식품 비서관을 선임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개각을 두고 박 대통령이 후반기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개각을 바라보는 도민들의 마음은 편치 않다.
박근혜 정부 들어 ‘전북 무장관’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이번에 만큼은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매우 컸고, 집권여당 수장인 이정현 대표까지 나서 ‘탕평과 균형 인사’를 건의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6일 발표된 개각에서 전북 출신 중용은 이뤄지지 않았고, 현 정권 들어 지속하고 있는 ‘무장관’ 상황을 끝내지 못했다.
임병찬 전북애향운동본부 총재는 이에 대해 “특정인을 위한 회전문 인사로 볼 수밖에 없다”면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대탕평 인사에 대한 도민들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은 격이다”고 밝혔다.
임 총재는 이날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박근혜 정부 들어 장차관 인사에서 전북 인물이 철저히 배제됐다”며 “이에 도민들의 자존심이 크게 구겨졌다. 하지만 이번 정부 개각에서 또다시 전북 출신이 고배를 마셨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임 총재는 이어 “이런 현 정부에 대한 도민들의 가슴 깊은 곳에는 불신과 심각한 균열만 가득 차 있다”며 “지역감정 해소나 국민 대통합을 위해선 인사 대탕평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현 내각에서 전북출신 장관급 인사는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유일하다. 또 전북 출신 차관도 지난해 11월 임명된 최정호 국토교통부 제2차관 한명 뿐이다.
다만 차관급은 국민안전처 홍익태 해양경비안전본부장 1명 뿐 이었지만 이번 개각에서 차관급인 국무조정실 2차장에 순창 출신 노형욱 기획재정부 재정 관리관이 임명되면서 2명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