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로 새로 35명을 인정하고 조사·판정 병원을 9개로 늘린다.
환경부는 지난해 2월부터 12월까지 752명으로부터 3차 신청을 받아 조사·판정위원회를 모두 4차례 개최한 결과, 1단계(가능성 거의 확실) 14명, 2단계(가능성 높음) 21명 등 35명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로 인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들 35명 가운데 17명이 숨졌으며, 이에 따라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모두 256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정부는 또 피해자가 조속한 기간에 배상받을 수 있도록 조사판정 병원을 확대했다.
서울아산병원 1곳이던 조사·판정 병원을 하반기부터 수도권 대형병원 5곳과 지역 종합병원 3곳 등 8곳을 추가로 늘렸다.
수도권 5곳 병원은 국립중앙의료원·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강남성모병원이고 지역 3곳 병원은 해운대백병원·전남대병원·단국대병원이다.
이는 그동안 지방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은 조사와 판정을 받기위해 서울로 가야하는 등 이중 고통을 겪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앞서 국회 정무위원회 정태옥 의원(새누리당·대구 북구 갑)이 최근 내놓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청인 지역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7월말 현재 1~4차 가습기 피해 접수자의 지역별 분포도는 수도권이 58.1%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경상 8.6%, 충청 6.4%, 부산 6.0%, 전라 4.9%, 대구 4.5%, 광주 2.7%, 대전 3.4%, 울산 1.7%, 세종 0.5%, 강원 2.3%, 제주 0.5%, 해외 0.2% 등이다.
특히 4차 조사에 접수한 지방 피해자는 모두 1179명으로 전체 2817명의 41.8%에 달한다.
1~4차 가습기 살균제 피해 접수자 가운데 전북지역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는 121명이었으며, 이중 사망자는 20명이다. 이 가운데 전북은 4차에만 79명이 신청했고 이중 사망자는 15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