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 김종규 부안군수가 깨끗하고 투명한 행정 구현을 통해 청렴도 1등급 달성을 군정 최우선 과제로 천명했지만 각종 청렴도 평가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특히 부안군은 지난해 2월중 월례조회에서 청렴도 1등급 달성 결의대회를 갖고 공직사회의 청렴도 향상을 다짐했지만 공염불에 불과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해 말 발표한 2015년 청렴도 조사 결과 부안군은 7.6점(10점 만점)으로 3등급을 기록했다.
반면 전북지역 다른 군단위 지자체는 순창군(8.09점)과 완주군(8.07점), 고창군(8.01점), 진안군(7.78점) 등이 2등급으로 부안군보다 훨씬 높았다.
또 같은 3등급을 받았지만 임실군(7.62점)의 청렴도 역시 부안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더구나 부안군은 전년도(2014년) 대비 개선도에 있어서도 순창군(0.43)과 고창군(0.89), 진안군(0.56)에 훨씬 못 미치는 0.24를 기록했다.
김종규 부안군수가 청렴도 향상을 강조하고 군정 최우선 과제로 추진했지만 그 효과는 미비하고 여전히 부패와 비리의 오명을 안고 있는 것이다.
실제 부안군은 현재 악재의 연속으로 뇌물수수 혐의로 전 부안군수가 구속 기소되고 줄포만 해양탐방로 조성공사와 공공하수종말처리장 증설공사 등 각종 발주공사 관련 비리 혐의로 담당 공무원들이 줄줄이 구속·불구속 기소되는 등 비리지자체로 전락하고 있다.
전북도에서 실시한 민선 6기 상반기 종합감사에서도 총 47건의 위법·부당사항이 적발돼 체면을 구겼다.
한국매니페스토 실천본부가 발표한 전국 시군구청장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 평가에서도 불통지역을 제외한 최하등급은 D등급을 받아 엇박자 행정을 보였다.
이에 따라 부안군의 청렴도 향상 및 비리 근절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부안읍 주민 김 모씨는 "공무원들이 청렴 해야만 군민이 행복해 질수있다"며 " 오직 군민만을 생각하고 일하는 공직사회가 되어야 하고 비리에 연루된 공직자는 특단의 인사초치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