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회 런던 올림픽이 끝난 직후인 지난 2012년 8월 23일. 전북 도청 도지사실은 웃음꽃이 만발했다. 그해 올림픽에서 금메달 6개, 동메달 3개를 딴 전북 연고 선수들에 대한 환영식이 열렸기 때문이다. 양궁 금메달의 이성진과 최현주, 펜싱 금메달 김지연, 구본길, 오은석, 김지연 선수 등에게 격려와 포상금도 주어졌다.
그 뒤 4년이 흘러 리우 올림픽을 마친 전북 체육계의 표정은 착잡하기 그지없다.
도내 출신이나 전북 연고의 올림픽 출전 선수들이 거둔 성적이 너무 초라해서다.
전북은 이번 리우에서 겨우 동메달 2개를 따고 대회를 마감했다.
이는 런던 올림픽은 물론, 8년 전 북경 올림픽에서 전북 출신이 거둔 금메달 3개, 은·동메달 각 2개의 성적과 아예 비교가 되지 않는다.
전북은 리우 올림픽에 13개 종목 선수 14명과 임원 8명이 나섰다.
당초 전북은 배드민턴 남자복식 유연성, 펜싱의 익산시청 김지연과 국민체육진흥공단 구본길, 골프의 전인지가 금메달을 획득해주기를 내심 기대했었다.
그러나 최종 결과는 전주성심여고 출신 삼성전기 신승찬의 배드민턴 여자복식 동메달과 전북 연고팀인 국민체육진흥공단 소속 김정환의 펜싱 사브로 동메달이 전부였다.
리우에서 전북 체육의 기대주였던 배드민턴 남자복식 세계랭킹 1위인 유연성은 이용대와 짝을 이뤄 조별 예선을 무난히 통과했지만 8강전에서 말레이시아에게 충격적인 패배를 당해 금메달 꿈을 접었다.
펜싱 기대주 김지연은 사브르 개인 16강전에서 이탈리아에게 석패했고 구본길 마저 이란 선수에게 지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여자 골프 한·미·일 우승 기록의 전인지는 116년만에 부활한 골프에서 3라운드 5위에 올랐지만 최종 13위에 그치며 박인비의 우승을 지켜봐야 했다.
사이클 국내 1인자 삼양사 나아름은 도로경기 30위로 세계의 높은 벽을 실감했고 전북도청 기계체조 이상욱은 5개 종목 순위가 모두 30위권 밖이었다.
반면 배드민턴 여자복식 신승찬은 정경은과 짝을 이뤄 준결승에서 패했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중국을 꺾고 ‘한국 배드민턴 노메달’ 탈출의 주인공이 됐다.
펜싱 사브르 개인에 출전한 국민체육진흥공단 김정환도 준결승에서 헝가리에게 패한 뒤 동메달 결정전에서 이란을 이겨 전북에 첫 메달 소식을 알렸다.
한국은 이번 리우 올림픽에서 금메달 9개, 은메달 3개, 동메달 9개로 종합 순위 8위를 차지하며 지난 2004년 아테네 올림픽부터 4개 대회 연속 올림픽 ‘톱 10’을 달성했다.
한국은 애초 목표였던 ‘10-10’(금 10개, 종합 10위)을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선전했다는 평가다.
이에 비해 전북은 최근 3차례의 올림픽 중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도내 체육계는 갈수록 얇아지는 엘리트 선수층을 주된 원인으로 꼽으면서 우수선수 발굴과 육성에 대한 특단의 정책과 지원을 갈망하는 분위기다.